티스토리 뷰

시설화된 장소, 분리되는 개인…대안은 ‘연결된 삶’

탈시설 이슈를 교차적 관점으로 읽기, 책 <시설사회>


 

코로나 위기의 초반이었던 지난 2월,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인해 경북 청도 대남병원에선 7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첫 사망자는 가족 없이 장기 치료를 받아온 무연고자였고, 두 번째 사망자 또한 장기 입원 환자였다. 그는 다른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곧 사망했다. 그것이 그의 입원 이후 15년만의 외출이라 알려졌다.


15년은 어느 정도의 시간인 걸까? 지금 내가 가늠할 수 있는 건 ‘최대한 집에 머물라’는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의 두 달이 90번 반복되는 시간이라는 거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공포스러운데, 현실은 그보다 더 가혹했을 것이다. 최대한 집에 머무르라는 권고를 따른 게 아니라, 시설이라는 공간에 그냥 갇혀있었으니까.


가장 모순적인 건, 코로나 사태 이전이었다면 그의 죽음이 알려지지도 않았을 거라는 점이다. 시설에 머무는 사람인 정신장애인, 노숙인, 장애인, 비혼모, 탈가정 청소년, 난민, HIV 감염인 등은 이미 ‘정상사회’에서 탈락한 사람들이기에 그들의 ‘부재’(不在)는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어서 크게 신경 쓰지 않으니까.


그런 점에서 코로나 위기는 그 부재에 대해 의문을 던졌다고도 할 수 있다. 자가격리,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이 된 생활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 이전엔 상상할 수 없었던, 아니 상상할 필요도 없었던 ‘사회에서 격리된 삶’에 대해 상상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상상은 제대로 된 사회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질문과도 연결될 수 밖에 없다.


장애여성공감에서 엮은 책 <시설사회 -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와온, 2020)


때마침 책 <시설사회 -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장애여성공감 엮음, 와온)이 출간되었다. 장애여성 인권운동 단체인 장애여성공감에서 지난 몇 년간 “탈시설, 성과 재생산, 의존과 돌봄에 대한 화두를 가지고 끈질기게 고민한” 흔적이 담긴 이 책은 “교차적 관점으로 시설화에 저항하고자” 하는 이들의 이야기로 빼곡하게 채워져 있다.


‘탈시설’ 운동이 여성/소수자인 나와 만나는 지점


흔히 장애인의 탈시설 운동은 “시설 수용 중심의 장애인 정책에 반대하며,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을 수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시설에 수용된 장애인들의 ‘독립’ 운동이라고만 인식하고, 나와 상관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대부분 비장애인)이 많다. 장애인 이슈라고 여기는 거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건, “삶에 대한 포기가 존재하고 생명에 대한 관리를 누군가에게 의탁해야 하는 사회”(시설사회)가 이미 내 삶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었다.


내가 여성으로서 마주하는 한국 사회의 현실, ‘낙태죄’를 존치시키고 여성의 재생산권을 좌지우지하려는 국가의 개입이 이미 시설 속 존재들에겐 ‘안전’과 ‘보호’라는 명목 아래 아무렇지 않게 행해져 왔다는 사실. 누군가에겐 아이를 낳아야만 한다고 하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절대 낳아서는 안 된다고 하며 재생산권을 통제한 것.


또한 내가 ‘정상가족’을 탈주한 존재로서 겪는 차별과 편견의 기반인 ‘정상가족 이데올로기’가 시설의 존재들에게도 작동되며 그들의 위치를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는 것.


시설의 ‘보호’ 아래 들어가기 위해서 어떤 정체성을 강요 받고 ‘연기’해야 하는 상황은, 이 사회에 무리 없이 ‘편입’되기 위해서 어떤 정체성은 지우거나 숨겨야 했던 나의 상황을 떠올리게 했다.


내가 이 ‘시설사회’의 일원이라는 사실이 확연해지는 순간이었다.


배제와 분리의 장치 ‘시설’이 사라지는 사회


책 <시설사회>는 한발 더 나아가 독자들이 더 많은 질문과 마주하게 하고, 코로나19라는 글로벌 재앙을 맞이한 우리가 꿈꾸고 목표해야 할 사회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과감하고 급진적인 방식으로 말이다.


2018년 6월 26일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 [숨]에서 진행된 2018년 서울시 탈시설 정책 제안 토론회  ©장애여성공감


탈시설 운동을 하면서 “장애인시설 내 공간/시간의 배치, 관계의 방식 등 시설의 질서와 규범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다”고 언급한 장애여성공감은 “프라이버시가 어떻게 침해되는지, 호칭을 통해서(시설 거주인이 시설 종사자를 ‘엄마, 아빠’라 부르는 것) 어떤 권력관계가 드러나거나 은폐되는지, 정상성과 이성애중심성, 능력주의가 어떻게 추구되면서 포기되는지 등”의 문제들을 파악했다.


시설 문제의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장애여성공감은 ‘경계’를 넘어서는 방법을 택한다. 이주민/난민 보호소, 정신장애인 요양병원, 노숙인 쉼터, 탈가정청소년 보호소, 한부모가정 쉼터 등 다양한 시설의 이야기를 함께 다루기로 한 거다.


(위 글은 기사의 일부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시설화된 장소, 분리되는 개인…대안은 ‘연결된 삶’)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