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춘신의 생활문학’ 는 개인의 입체적인 경험을 통해 ‘여성의 삶’을 반추해보는 생활문학 칼럼을 개설했습니다. 필자 윤춘신님은 50여 년간의 생애를 돌아보며 한부모로 살아온 삶 이야기, 어머니와 할머니와 외숙모 이야기, 일터 이야기, 그리고 딸과 함께 거창으로 귀농한 현재이야기를 들려줄 것입니다. 여자가 말했다. “열쇠를 우편함에다 숨겨 놓고, 때리면 도망쳤다가 밤에 몰래 들어가요.” 다른 여자가 말했다. “그 인간은 때릴 때 멍도 안들 게 때려요. 이불을 뒤집어씌우고 골프채로 두들겨 팬답니다. 얼마나 아픈지 몰라요.“ 또 다른 여자가 말했다. “차라리 때렸으면 좋겠어요. 밤새도록 일어나라, 앉아라, 들어가라, 나와라 그러는데 미칠 것 같아요.” 내가 말했다. “매 맞을 짓을 안하고 싶은데, 날마다 맞을..
[석은지가 만난 사람] 심리치료사 신진원 퇴근하고, 자주 가는 가게에 어김없이 자리를 잡고 앉아 있다. 그녀의 입가엔 연신 미소가 떠날 줄 모른다. 싱글벙글, 꿈을 꾸는 듯한 표정도 짓다가. “오늘은 아이들만 생각할래.” 한마디. 아이들이 그렇게 사랑스러웠냐고 물으니, “아이들이 나에게 믿음을 주네.” 라는 답변이 돌아온다. “튼튼하게 서른을 맞이했고, 하고 싶은 공부를 다 해도 마흔이 채 되지 않는 나이야. 내가 하는 일에 정말 감사해. 이 일을 하게 돼서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 이렇게 말하는 그녀, 신진원씨는 심리치료사다. “내가 아직 상담초심자니까, 믿음이 흔들릴 때가 있어. 아, 과연 될까? 그런 생각부터가 잘못된 것이, 내가 사람들을 치료하는 게 아니거든. 나는 내가 만난 사람들이 뭔가 변화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