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노년을 맞이하기 위한 첫 발자국 정확히 노무현 대통령 서거 무렵부터였던 것 같다. 나를 지탱해왔던 중요한 무언가가 한 순간에 무너지는 느낌이 왔다. 아니, 그동안 서서히 균열이 생기고 있다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무너졌다는 표현이 맞을 듯하다. ‘정의는 반드시 이긴다’라든가 ‘언젠가는 진실이 제 힘을 발휘할 때가 올 것이다’라는 믿음이 과연 옳았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기면서, 갈피를 잡을 수 없을 만큼 흔들렸다. 그러면서 세상이 어찌 이럴 수 있는지, 도대체 어디서 살아갈 희망을 찾아야 하는지 근본적인 물음에 봉착하게 되었다. 하지만 답을 찾기는커녕 불의와 부패, 협잡이 판을 치는 세상에 대한 분노 때문에 어찌할 바를 몰라 하며 하루하루를 보냈다. 그러면서 내가 속해 있는 세상뿐 아니라 주변사람 모두..
여성농민의 경제적 지위는 ‘세대원’? 여성농민, ‘돈에 대한 의사결정권’을 말한다 여성농민은 당당하게 농사짓는 여성을 말한다. 남들이 우리를 농촌부녀, 농촌여성, 농가주부라 부르던 시절, 우리는 스스로 여성농민이라고 말했다. “누가 붙여주지 않은 우리 스스로 이름 지어 부른 여성농민. 역사와 농업생산의 주체임을 명확히 하자는 의미에서 여성농민이라 부르기로 했지요. 단순히 농사만 지어 나만 잘 살자고 했으면 ‘여성농민’이라 이름 짓지도 않았겠죠? 그리고 그 이름이 불릴 때 그렇게 눈물 나게 벅차지도 않았겠죠? 더불어 잘 살고, 생명의 소중함과 생산의 위대함을 증명하며 살아온 역사이기에 그 이름이 그토록 아름다운 것이었습니다.” (2009 를 마치고 정미옥씨가 쓴 글) 그러나 당당하고 마음만은 풍족한 여성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