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록하는 여자들 ‘우리의 노동을 말하다’
▶ 기록하는 여자들이 읽은 『당신의 말을 내가 들었다』
기록하는 여자들의 독서 모임에서 이 책을 읽자고 한 이유는 하나였다. 여성 (기록) 작가가 인터뷰에 관해 쓴 국내서가 없었다. 지금껏 여자의 말은 별 가치를 지니지 못했다. 의사는 여자의 말을 믿지 않았고(미야 뒤센베리), 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만 받는다(리베카 솔닛). 그래서 여자가 삶에 관한 진실을 말한다면 이 세상은 터져버릴 거라고 했다(뮤리엘 루카이져).
세상을 터트리고 싶은 여자들은 다른 여자의 목소리를 찾아다녔다. 그러나 여자의 기록물도 가치 없게 취급받긴 마찬가지였다. 여자들 이야기로만 이뤄진 책은 낼 수 없다고 출판사로부터 답변을 받은 여성 저자들을 나는 알고 있다. 불과 5년 전 일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출판사들은 20-30대 여성 독자들을 위한 책을 서둘러 내고 있다. 페미니즘 리부트가 도래한 것이다. 여자들의 기록도 덩달아 관심에 올랐다. 『당신의 말을 내가 들었다』(안미선 저, 낮은산, 2020)는 그 길목에서 만난 책이다.
▲ 안미선 지음 『당신의 말을 내가 들었다』 낮은산, 2020 (사진 출처: 달팽이 책방)
책의 저자는 나보다 더 오랜 시간 사람을 만나고 기록을 해온 이다. 그리고 나는 한두 해전부터 인터뷰를 하고 기록 글을 쓰기 시작한 사람들과 르포 읽기 모임을 꾸렸고, 그곳에서 이 책을 읽었다. 자기 삶이건 타인의 인생이건 무언가를 기록하고자 하는 여성들이었다. 이들과 책에 관해 나눈 이야기를 전해보려 한다. 페미니스트 저널 <일다> 바로가기
내가 들었다
당신의 말을 내가 들었다. 이것은 인터뷰에 관한 책이다. 책은 ‘묻는’ 행위가 아니라 ‘듣는’ 행위를 제목으로 하였다. 하지만 사람들은 기록 일에 관해 듣기보다는 묻는 일을 궁리한다. 요즘 들어 자신과 다른 여자에 대해 기록하려는 여자들의 열망은 커졌고, 나 또한 여느 때보다 기록하는 일에 관한 질문을 자주 받았다. 어떻게 기록해야 하나? 아니, 사람들은 이렇게 묻지 않는다.
“어떻게 물어야 답을 얻을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이 올 때마다 도리어 나는 묻고 싶어졌다.
“왜 당신은 묻는 사람인가요?”
누가 그에게 물을 자격을 주었는지 묻고 싶었다. 그러나 공적인 자리였기에 그리 되묻지 못하고 ‘묻지 않기 위해 준비하는 일’에 대해 말했다.
“때로는 질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질문하지 않기 위해 준비했다.”(책 94쪽)
책은 말한다. “사람들이 저지르기 쉬운 잘못은 묻는 사람이 질문할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는”데 있다고. “질문을 잇달아 쏟아내고 정보로서 그 답만 듣기를 원”하는 태도를 책 속 문장으로 읽을 때는 굉장히 무례해 보이지만, 이런 일은 실제 인터뷰 자리에서 빈번하게 일어난다.
세상은 여자들에게 늘 같은 질문을 한다고 했다. 기록자도 세상을 사는 존재라, 집중과 마음을 놓치는 순간 세상과 같은 질문을 던지게 된다. 질문은 찰나지만, 기억은 오래 남는다. 흉터는 더 오래 남는다.
▲ 기록하는 여자들의 독서 모임에서 『당신의 말을 내가 들었다』를 읽고 이야기를 나눴다. (기록노동자 희정)
기록자는 ‘저지르기 쉬운 잘못’을 경계하면서도 매번 잘못을 저지르는 사람이다. 그래서 나날이 자신의 한계를 느끼는 사람. 묻는 자로서 자신을 상정한다면, 그 역할은 어렵고도 혼란스럽고 무겁다. 이날 책 모임에 참석한 사람은 여섯. 한 사람만 빼고 모두 눈물을 보였다. 한낮에 여자들이 카페에 모여 울다가 웃다가 했다. 그러다 서로가 민망해지면 농담을 던졌다. 책이 슬펐기 때문은 아니었다. 기록이라는 노동이 버거울 때가 있어서다. (계속됩니다)
■이어진 기사 전체보기: 기록하는 여자들 ‘우리의 노동을 말하다’
▶ 국가, 분단…거대서사에서 비켜나 ‘북한’을 기록하다 『나의 살던 북한은』
일다 기사를 네이버 메인에서 보세요! 일다 뉴스편집판 구독 신청!
'문화감성 충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곡되고 부정적인 트랜스젠더 이미지의 출처는? (0) | 2020.07.14 |
---|---|
유년의 트라우마를 그린 그래픽노블 『바늘땀』 (0) | 2020.07.08 |
슬로베니아 그림 동화 『첫사랑』 (0) | 2020.06.28 |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 ‘정의 없인 자긍심도 없다!’ (1) | 2020.06.13 |
고통으로 잠 못 이루는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 (0) | 2020.04.27 |
‘이성애 월드’에서 길 잃은 소녀들의 욕구 (0) | 202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