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은 얼마?④ 성폭력과 싸우는 데 내가 들인 비용 ※성희롱 성폭력 피해자의 ‘생계’와 ‘생존’을 키워드로 삼아 성폭력의 구조를 들여다보는 기사를 연재합니다. 는 한국성폭력상담소가 성폭력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함께 대안을 모색하는 연속집담회로, 5월부터 매달 새로운 주제로 총 5회 열립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성폭력 피해를 치유하는 데는 비용이 든다. 피해자는 피해로 인해 한동안 일을 하기 힘든 상태에 놓이기도 하는데, 이럴 땐 생계가 막막해진다. 경력도 단절된다. 가해자를 고소하는 데에는 소송비용이 든다. 심리상담을 받거나 불면증, 우울증 약을 먹는 것도 다 돈이다. 각종 신체화 증상(심리적 문제가 몸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치료가 필요한 경우엔 자신..
‘산뜻하면서도 고급스럽게’ 웹디자이너의 적정 노동값은? 20년 경력 웹디자이너 하루 씨의 이야기 ※ 는 과 공동 기획으로, 지금까지 기록되지 않은 여성노동자들의 ‘일’을 이야기하는 인터뷰를 싣습니다. “기록되어야 할 노동” 연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보도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유망직종 웹서비스 분야, 노동자의 ‘열정’에 기댄 성장 하루 씨(40세, 가명)는 웹디자이너에 대해 ‘웹상에 보여지는 모든 정보들을 디자인하는 이들’이라고 정의한다. 웹상에 사이트를 구축해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개설하고, 이곳에 각각의 정보들을 알맞게 배치하고, 때론 뉴스레터나 웹자보를 만든다. 뿐만 아니다. 온라인쇼핑몰의 상품 설명에서부터 각종 모바일 쿠폰, 포털사이트에 올라오는 배너광고까지 망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