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다] 소수자 집단의 ‘피해의식’ 어떻게 볼 것인가 조이여울의 記錄 (2) 진단은 낙인이 되고, 원인은 답이 된다 차별과 폭력, 사회적 소외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언론활동을 하다 보면 종종 ‘피해의식’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거나 떠올리게 된다. 개인차를 감안하고, 사회적 소외와 차별을 겪어 온 사람들이 그 결과로 피해의식을 갖게 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리고 그것은 개인의 탓도 아니다. 문제는 피해의식이 사람들 간의 소통을 방해하고 상황을 쉽게 왜곡시킨다는 점이다. 어떤 사안에 대해 지나치게 과민하게 반응하여 사람들을 당혹스럽게 만들거나, 자신과 처지가 다른 이들에 대해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 등을 예로 들어보자. 이런 경우 피해의식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람과 해당 주제에 관해 대화하는 ..
[일다] 박은지의 ‘신체활동과 여성건강 이야기’ (7) 유방암 ② 박은지님은 체육교육과 졸업 후 퍼스널 트레이너와 운동처방사로 일을 한 후, 지금은 연세대학교 체육연구소에서 신체활동이 우리 몸에 미치는 생리학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한국사회에서 '운동과 스포츠'라는 영역은 아직까지 여성에게는 척박한 곳이라고 생각해 여성들이 편하고 올바르게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개척해나가려는 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다] 유방암 예방과 회복을 도와주는 운동들 운동은 암 치료와 재활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암을 예방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이고, 필수적이다. 적당한 강도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항암효과가 있는데 특히 여성 생식기계 암과 같이 암 발생이 호르몬과 관련되어 있는 암인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다.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