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성주의 저널 일다 www.ildaro.com
<브르타뉴에서 보낸 편지> 11. 브르타뉴의 성곽도시들③
 
 

‘하늘을 나는 교실’의 필자 정인진님이 프랑스의 서북부 브르타뉴 지방에서 머물면서 보고 느낀 것들을 기록한 ‘브르타뉴에서 온 편지’ 연재 www.ildaro.com 

길에서 만나는 사람들 중에는 외국인인 나를 신기해하며 말을 건네는 이들이 가끔 있다. 어느 나라 사람이냐? 여기서 뭘 하냐? 등등. 브르타뉴를 여행 중이라고 대답할 때마다  ‘그럼, 생말로(Saint-Malo)는 가보았냐’는 질문을 들을 때가 많다. ‘아직 가보지 못했다’고 하면, 그 사람들은 안타까운 표정을 지으며 ‘꼭 가봐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강조하곤 했다.
 
그래서 생말로는 다른 어느 곳보다 재빨리 달려가 보았다. 소문대로 그곳은 아름다운 도시가 분명했다. 그러나 생말로를 다녀올 때마다 생말로의 진정한 모습을 만나지 못한 것 같은 느낌을 거둘 수 없었는데, 오랫동안 나는 그 이유를 찾지 못했다. 그리고 오늘, 다시 생말로에 다녀왔다.
 
성곽 위를 걸으며 본 생말로의 진풍경
 
생말로는 랑스(Rance)강 하구에 자리잡은 도시다. 성곽으로 둘러싸인 옛 시가지에 1년 내내 관광객들이 몰려온다. 성곽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생-뱅상문(La porte Saint-Vincent, 1708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쉬워 보인다. 특히 버스나 기차를 타고 생말로를 간다면, 이 문 앞에 꼭 닿게 된다. 기차에서 내려 약 30분 동안 부둣가 도로를 통과해 걸어왔다면, 틀림없이 들었을 실망감을 이제 거둬들여도 될 것이다.
 
▲ ‘생-뱅상문’ 아래 박혀 있는 담비가 그려진 징.  이 담비가 우리를 명소로 안내한다고 한다.  © 정인진 
 
나는 이 생-뱅상문을 통해 성내로 들어가는 걸 좋아한다. 그 이유는 이 문 입구에 있는 맨홀 뚜껑과 바닥에 박힌 금빛 징 때문이다. 생-뱅상 문 바로 밑바닥에는 뚜껑에 생말로 도시 문장이 새겨진 맨홀이 두 개 있다. 유명한 관광지에서나, 그것도 드물게 볼 수 있는 도시 문장의 맨홀 뚜껑을 생말로에서 보았을 때, 드디어 진정으로 세계적인 관광지에 왔다는 것이 실감이 났다. 나는 그 이후 브르타뉴 어디에서도 이렇게 멋진 맨홀 뚜껑은 본 적이 없다.
 
사실, 맨홀 뚜껑보다 더 내 눈을 사로 잡은 건 그 바로 옆에 박혀있는 노란 징이다. 이 징에는 브르타뉴를 대표하는 담비(hermine)가 ‘내리닫이 살문’(herse) 위를 걷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그 모습이 하도 날쌔 보여 이 녀석을 따라가면 성 안을 잘 구경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드는데, 실제로 이 담비는 관광객을 명소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성내에는 이 담비가 그려진 징이 150개나 산재해있다고 한다.
 
물론, 나는 담비를 따라 다니지 않았다. 그렇다고 이들이 중요하게 내세우는 명소를 둘러보지 않은 것도 아니었는데, 생-뱅상문 외에서는 이 담비 징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것은 이 명소들이 그만큼 내 관심을 끌지 못했기 때문인 것 같다. 또 성 안에는 관광객의 발길을 당기는 예쁜 기념품 가게들로 넘치지만, 이것들 또한 생말로를 진정으로 대표하지 못하는 것 같다.
 
내 생각에 생말로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은 뭐니뭐니해도 성곽 위에서 보이는 풍경이다. 완벽하게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생말로 성곽은 브르타뉴에서도 성곽 위 전체를 모두 걸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다. 이 성벽은 기존에 존재해 있던 것에 기초해,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건설되었다. 많은 부분이 겹으로 되어 있어, 매우 육중하고 견고한 모습이다.
 
▲ 성곽 위에서 내다보이는 건물들. 아르두와 돌편지붕 위에 노랗게 피어있는 이끼가 보인다. ©정인진 
 
성곽 위에서는 손을 내밀면 닿을 듯 가까운 거리에서 건물들을 감상할 수 있다. 5,6층 정도의 이 집들은 모두 화강암에 아르두와즈 돌편지붕을 하고 있다. 잦은 비 때문에 브르타뉴의 건물들이 그렇듯, 생말로 성내의 집들 벽면과 지붕 표면에는 희고 노랗고 또 푸르기도 한 이끼들이 피어 있다. 그래서 수백 년 되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실제로 이것들은 그렇게 오래된 것은 아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점령 지역이었던 생말로는 1944년 미국의 폭격으로 성안의 80%가 파괴되는 안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지금의 생말로는 폭격 이후, 1948년부터 1953년 사이에 재건된 모습이다. 생말로의 재건은 매우 성공한 예로 주목 받고 있다.
 
또 성곽 위를 걷다가 석조 건물들 사이로 특색 있는 주물 철간판들이 매달린 상점들이 줄지어 있는 거리들이 눈 밑으로 전개될 때면, 발길을 멈추지 않고는 못 배길 것이다.
 
한 예술가의 무덤이 있는 작은 섬
 
생말로 성곽의 북서쪽에 있는 비두안느탑(La tour Bidouane) 위에서 내다보이는 연안은 특히 아름답다. 이곳에서는 밀물이면 사라지고 썰물이면 드러나는 ‘봉-스쿠르 해변’(plage du Bon-Secours)의 ‘야외 바다 수영장’과, 유명한 프랑스 작가인 프랑수와-르네 드 샤토브리앙(Francois-Rene de Chateaubriand, 1768~1848)의 무덤이 있는 ‘그랑베 섬’(ile de Grand-Be), 그리고 ‘나시오날 요새’(Fort National) 등의 풍경을 감상하기 가장 좋다.
 
그랑베 섬은 샤토브리앙의 무덤이 있어 더욱 유명하다. 브르타뉴의 몇몇 도시에서 그의 발자취를 읽을 수 있다. 돌(Dol)에서는 몇 년 간 꼴레쥬를 다녔고, 또 꽁부르(Combourg)에서는 어린 시절 방학을 보냈다고 한다. 이 도시들 이상으로 샤토브리앙과 인연이 있는 곳이 생말로다. 생말로는 샤토브리앙이 유년 시절으로 보낸 곳인데다가 그의 무덤까지 있으니, 다른 어떤 곳보다 샤토브리앙을 내세우기에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 샤토브리앙이 묻혀 있다는 ‘그랑베 섬’. 썰물 때면 걸어서 갈 수 있다. 작가의 무덤은 오른쪽 끝에 있다.  © 정인진

프랑스 문학에는 관심이 없고 샤토브리앙에 대해서는 더더욱 아는 바가 없지만, 그의 무덤이 있다는 그랑베 섬만큼은 내 마음을 끈다. 아무도 살지 않는 아주 작은 이 섬은, 썰물 때는 육지의 가장자리가 되었다가 물이 밀려오면 섬이 되곤 한다.
 
물이 빠진 사이, 관광객의 발길이 멈추지 않던 그랑베 섬은 밀물이 시작되자 어느 곳보다 먼저 바다에 둘러싸였다. 그러는 사이에 사람들은 모두 빠져 나오고 샤토브리앙만 남았다. 그는, 왜 그 많은 장소 중에서 이 작고 작은 섬을 안식처로 선택한 걸까? 비두안느탑 위에 팔을 괴고 먼 발치 샤토브리앙의 무덤을 바라보며 하루의 절반을 외롭게 홀로 바다를 향해 누워있는 그를 상상하노라면, 이런 남자와는 바람도 피울 수 있을 것 같다.
 
멀리 나갔다가 해안 깊숙이 몰려오는 바다
 
오늘도 한참 동안 넋을 잃고 그랑베 섬을 바라보다 성곽 위에서 내려왔다. 그리고 지금까지 한번도 가보지 못한 성곽 바로 옆의 ‘그랑드 쁠라주’(La Grande plage, 큰 해변)를 걸어볼 계획이었다. ‘그랑드 쁠라주’는 이름처럼 매우 길고 넓은 해변이다. 해변에 들어서서 시원하게 펼쳐진 푸른 바다를 보니 탄성보다 먼저 숨이 크게 쉬어졌다. 옛날 홍합을 양식할 때 썼던 나무 기둥들이 촘촘히 줄지어 서 있는 해안에는 밀물이 시작되고 있었다.

▲ '그랑드 쁠라주' 위에 서 있는 홍합을 양식할 때 쓰였던 나무 기둥들     © 정인진 
 
‘생말로만’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기로 유명하다. 보통 밀물의 높이가 7~8미터이며, 춘분이나 추분에는 13미터에 달한다고 한다. 이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조력발전소(l’usine maremotrice)가 랑스강 하구에 있다. 댐의 넓이가 750미터에 달하는 조력발전소는 약 22만 3천명이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생산하며, 브르타뉴 전체 전기 생산량의 45%를 차지한다고 한다.
 
바닷물은 조금씩 조금씩 해안으로 나를 밀고 있었다. 밀려오는 바닷물에 젖지 않으려면 해안 안 쪽으로 발걸음을 옮겨야 했다. 그렇게 물이 들어오는 바닷가를 한참 걸어 ‘바르드 곶’(La pointe de la Varde)이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가까이 보이는 ‘그랑드 해변’ 끝까지 내려갔다. 바위들로 가로막혀 ‘바르드 곶’까지 가지 못하고 자리를 잡고 앉아 숨을 돌렸다. 족히 한 시간 넘게 걸은 것 같다.
 
그리고 다시 돌아오는 길, 밀물은 더욱 사납게 나를 해안 깊숙이 밀고 있었다. 더욱 빠른 걸음으로 발길을 옮겼다. 그러나 바닷물은 ‘그랑드 해변’을 거의 되돌아 나올 때쯤에는 방파제 바로 앞까지 사정없이 몰아붙였다. 빠른 속도로 밀려드는 밀물에 쫓겨, 신발과 양말을 벗어 한 손에 들고 또 한 손으로는 치마를 허벅지까지 올려 쥐고는 발목까지 차오른 바닷물 속을 첨벙대며 뛰어나와야 했다.
 
▲  랑스강을 사이에 두고 생말로 건너 편에 있는 도시 디나르로 향하는 배에서 본 생말로의 모습.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은 발길을 조금 떼고 보면 더욱 아름답다.   © 정인진

어쩜, ‘생말로를 가보았냐’는 말은 바다 멀리까지 빠져나갔다가 다시 해안 깊숙이, 사정없이 몰아붙이는 바다를 보았냐는 뜻인지도 모른다. 육지의 가장자리가 되었다가 섬이 되었다 하는, 또 해변이 되었다가 물보라가 치는 바다가 되기도 하는, 밀물과 썰물이 만들어내는 ‘생말로만’의 풍경 속에서, 밀물에 밀려 맨발로 허겁지겁 해안을 벗어나고서야 생말로의 진정한 모습을 본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그러는 사이, 그랑베 섬은 물 속 깊숙이 잠겨 더욱 오롯이 바다 위에 홀로 떠 있었다. (정인진) 

여성저널리스트들의 유쾌한실험!  여성주의 저널 일다 www.ildaro.com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