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치유할 수 없는 상처가 있다. <오래된 정원>의 현우(지진희)가 입은 충격과 상처는 수십 년이 지나도 여전히 그를 끈질기게 괴롭히며 함께할 것이다. 또한 그를 비롯한 등장인물들과, 확장하여 한국인인 관객들조차 그 업보와 같은 망령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것임은 자명하다. 이 영화는 허구의 인물들과 사건들을 그리고 있지만, 그들이 기반하고 있는 시대는 현재 우리가 존재하는 이 시공간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1980년의 광주. 이 짧은 말에서 우리는 슬픔과 분노, 비루한 경계심과 죄의식, 무력감과 개인으로서의 왜소함 등 복잡다단한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된다.

다시 말할 것도 없이, 이것은 비극이다. 거대한 국가 폭력에서 비롯된, 민중에게 가해진 집단폭력과 그로 인해 비롯된 정신적 외상. 역사는 단절체가 아니라 연속된 유동체다. 청산되지 못하고 진실이 규명되지 못한 과거의 응어리들을 마디마디 품고 있는 한국의 역사가 끊임없는 문제제기를 담보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80년의 광주’를 포함한 한국 현대사의 악몽은 아직도 한국인의 의식구조와 생활 전반에 드리워져 있으며, 쉽게 말할 수 없는 어떤 낯선 것이 되어버렸다.

그 시대를 임상수 감독은 <오래된 정원>으로 이야기하고자 했다. “사랑보다 신념이 앞서고, 신나게 사는 게 미안했던 그런 시대에도 사랑은 했어야 한다”고. 황석영의 소설 <오래된 정원>을 원작으로 하는 이 영화는 폭풍 같던 시대에 짧은 사랑과 긴 이별을 겪었던 연인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80년의 광주라는 거대한 역사적 사건에 짓눌려 무겁고 침울할 것 같은 배경을 갈뫼라는 유예된 이상향으로 잠시 돌려, 치열함을 강요 받는 시대에도 인간이기에 서로 사랑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을 보여주고자 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을 하며 군부독재에 저항하던 오현우는 17년간의 오랜 감옥생활을 마치고 출소한다. 긴 세월을 단절되어 살았기 때문에 가족들도, 세상도 모든 것이 그에게는 낯설기만 하다.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후 현우의 어머니는 조심스럽게 한윤희(염정아)의 죽음을 알린다. 윤희가 그에게 남긴 글들을 읽으면서 현우는 먼 과거를 떠올리며 갈뫼로 향한다.

1980년 저항운동을 하던 현우는 은신처를 소개 받아 그를 숨겨줄 사람인 윤희를 처음으로 만나게 된다. 자신은 운동권이 아니라고 또박또박 선언하는 윤희와 서먹한 동거를 시작하게 된 현우. 그러나 이 긴장감 넘치는 동거는 곧 사랑으로 발전하게 된다. 학교 선생님인 윤희는 일상처럼 출근하고, 현우는 그런 윤희를 배웅하며 하루하루를 보낸다.

‘바깥 세상’이 험하고 처절할수록 갈뫼에서의 삶은 마치 현실같지 않을 정도로 아름답고 이상적이다. 두 세계 사이의 차이가 커질수록 현우의 마음은 무거워져만 간다. 동지들이 잡혀가고 있는데 혼자서만 행복하게 살고 있다는 죄책감 때문이다. 결국 그는 비겁해지지 않기 위해, 또 이 이상적인 세상을 확장하기 위해 작은 천국인 갈뫼라는 정원을 떠날 결심을 하게 된다.

그렇게 그들은 헤어졌다. 감옥 안의 세월은 더디 흐르지만 17년 동안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그 과정을 윤희는 고스란히 기록으로 남겨 놓는다. ‘그 사람에 대한 의리를 지켜야 한다’며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는 윤희는 마냥 슬퍼하며 기다리지 않는다. 그녀는 그녀 나름대로 세상과 투쟁하며 치열하게 삶을 살아나간다. 이 영화가 원작과 차이를 두는 점이 있다면 바로 이 윤희라는 인물의 재해석일 것이다.

황석영의 소설에 명백히 드러난 작중 화자는 ‘나’ 즉 현우였다. 어느 시점에서도 발화 주체는 현우일 뿐으로, 윤희는 회상 속에서 대상으로만 존재했다. 그녀가 남긴 글 속에서는 주체가 되고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현우라는 인물이 감옥 속에서 접할 수 없던 사건들에 대한 해설자로서의 역할 혹은 지금은 죽어버린 여성의 과거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 작품이 영화로 각색되면서, 임상수 감독의 작가적 흔적이 있다면 그것은 ‘여성성’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했다는 점일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방향성의 많은 부분을 염정아라는 배우에 기대고 있다고 본다. 소위 도시적이고 세련된 이미지 혹은 요부같은 인상을 가지고 있는 그녀는 전혀 상상할 수 없었던 역할을 완벽하게 소화하여 성숙한 연기를 완성시켰다. 시대의 아픔을 고스란히 담아내되 감정적이지 않게, ‘쿨’하지만 냉정하지는 않은 한윤희의 캐릭터를 잘 살려냈다. 염정아의 나직한 목소리는 삶의 신산함을 겪은 여인의 초월함마저 묻어나는 것 같다.

“당신은 그 안에서 나는 이쪽 바깥에서 한 세상을 보냈어요. 힘든 적도 많았지만 우리 이 모든 나날들과 화해해요. 잘 가요, 여보.” 윤희는 캔버스에 젊은 현우와 병들고 늙은 자신을 그려 넣으며 세상과 작별을 고한다.

“죄의식 아니면 무용담”이라는 1980년대. 그땐 그랬지, 그런 시절이 있었지 라고 말할 수 있을까. 영화 중반부의 시위 장면이나 한 여성노동자의 분신자살이 이 영화가 평범한 멜로 영화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지만, <오래된 정원>은 한국 현대사라는 무거운 컨텍스트에 비해 따뜻하고 잔잔하다. 역사의 격랑에 휘말려 불행한 한 철을 보낸 연인의 이야기를 다루었지만, 제목의 “오래된 정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이 보여주고 싶은 건 긴 불행의 시기가 아니라 짧지만 절실했던 행복의 순간이다. 과거를 통곡하며 보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행복했던 정원은 너무 오래되었다. 사랑하던 사람이 외롭게 지키다 죽어간 공간과 짐작하기 힘든 쌓인 시간의 무게가 버거울 만하다. 이제는 늙고 변해버린 과거 동지들의 모습에서, 부모 세대의 흔적은 조금도 보이지 않는 타인 같은 딸의 모습에서 현우는 잠시 현기증을 느낄 것 같다. 그리고 무척 쓸쓸할 것 같다. 완전히 열린 적도 없고, 닫히지도 않는 한 시대를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는 치유될 수 있을까. [일다] 노조수연  수작재발굴 <오래된 정원>

       [필자의 다른 글 보기] 그녀들의 절실한 생명력
  [필자의 다른 글 보기]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