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희롱 알리려면 사직서 쓸 각오쯤은? 불이익 조치에 분노하는 사람들② 직장 내 성희롱, 그 이후 들어가는 말 당신, 혹은 당신이 아는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는 지금 어떻게 지내고 있나요? 아직 직장에 남아있나요? 혹시 상사가 앞장서서 피해자를 따돌리고 있지는 않나요?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가 자신의 피해에 대해 문제 제기하는 순간, 또 다른 사건이 시작됩니다. 회사는 사건을 빨리 덮으려고만 하고, 제대로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피해자를 콕 집어 모난 돌 취급하며 조직에서 도려내려하기도 합니다. 많은 여성들은 직장 내 성희롱뿐만 아니라 그 이후 회사가 가하는 불이익 조치로 인해 안전하고 평등하게 일할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순간에 쫓겨나거나 직장에서 고립..
국적 취득 후에도 이민자는 차등 대우 지구화 시대 ‘이주’의 감수성(6) 한국시민이 된 베트남여성② 여행, 출장, 이주노동, 어학연수, 유학, 국제결혼, 이민 등 많은 사람들이 국경을 넘는 경험을 하고 있으며, 국내에도 많은 이주민들이 생활하고 있습니다. 는 지구화 시대를 평등하고 평화롭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이주’의 감수성을 들어봅니다. 이 연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습니다. [편집자 주] 한국인 남성과 결혼하다 ▲ 가족들과 함께 찍은 우리 부부의 결혼 사진. © 웬티현 근로 계약 만료로 불법체류자가 되어 외롭게 살던 나는, 우연히 한국사람과 결혼한 친구 집에 놀러 갔다가 지금의 남편을 만났다. 처음 만났을 때는 별생각이 없었지만, 남편은 날 좋아한다고 먼저 고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