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이혼서류를 받을 수 있게 도와주세요” 몽골 여성들의 ‘끝나지 않은 이혼’ 몽골을 방문해서 한국인 남편과의 결혼으로 이주했다가 다시 귀환한 일곱 명의 귀환 이주여성들과 한 명의 자녀를 인터뷰하였다. 이 여성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결론부터 말하면, 이들에게는 ‘법률상으로 이혼’ 문제를 깨끗이 정리하는 게 시급한 문제였다. 몽골에 다시 돌아와 산 지도 꽤 오래되었는데, 이 몽골 여성들은 ‘법적으로 아직도 한국 남편과 이혼이 끝나지 않아서, 법적으로 이혼이 종료’되는 것을 원하고 있었다. 서류상으로 이혼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몽골에서 살아가는 데 곤란을 겪고 있는 N씨의 사례를 중심으로 귀환 이주여성들이 처한 상황을 살펴보기로 하자. ▲ 우리 조사팀은 귀환 몽골여성들의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몽골국가통계..
현승: 범죄 심리치료사 & 법정소견인, 베를린 이주 20년 차2001~2006 본(Bonn) 대학교 심리학 학‧석사(Diplom), 법학 부전공2007~2010 본 대학교 심리학 박사2011~2015 베를린 훔볼트대학 심리치료사 과정 이수, 국가고시 합격2012~현재 베를린 및 브란덴부르크 주 형사재판소 법정 소견인2015~현재 공인 인지행동 심리치료사2018~현재 본 대학교 석사논문 제2시험관 한국에서 어느 때보다 ‘범죄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높다. 범죄자를 분석해 수사와 범죄 예방에 도움을 주거나 범죄자의 재사회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보니, 큰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범죄 심리학자가 언론에 등장한다. 범죄심리학의 연구 영역은 형사 심리, 범죄 정신의학 등 세분되어있는데 독일에서 범죄심리학을 공부한 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