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한 사람이 나는 되고 싶다”[두근두근 길 위의 노래] 산복도로북살롱 ※ ‘길 위의 음악가’가 되어 새로운 장소와 사람들을 만나고 있는 싱어송라이터 이내의 기록입니다. 여성주의 저널 일다 산복도로를 누비는 중구1번 마을버스 스무 살 무렵, 이스라엘 공동농장인 키부츠에서 두 달 정도 지냈다. 그리고 한국으로 돌아오는 길에 예수살렘 여행을 했다. 그 때 한국인 가이드가 산 중턱에 집들이 이어져 있는 모습을 가리키며 “아마 부산에서 오신 분들은 이 모습이 익숙할 거예요”라고 말했다. 그제서야 나는 다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산에 집이 있는 모습이 낯설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듣기로는 6.25 한국전쟁 때 전국의 사람들이 부산으로 피난을 와서 산 위로 더 위로 집들이 들어섰고, 그게 지금은 부산의..
‘따뜻한 밥’의 기억이 없는 소녀에게 밥의 역사 ※ , 을 집필한 김혜련 작가의 새 연재가 시작됩니다. 여자가 쓰는 일상의 이야기, 삶의 근원적 의미를 찾는 여정과 깨달음, 즐거움에 대한 칼럼입니다. 여성주의 저널 일다 ‘밥상머리의 오순도순’ 같은 평화는 없었다 내 밥의 역사에는 ‘따뜻한 밥’의 기억이 없다. 이 사실 앞에 충격을 받는다. 설마, 그렇게까지 내 삶이 황폐하단 말인가…. 기억이 있다. 다섯 손가락이 다 안 꼽힐 만큼 예외적으로. 엄마와 광산촌 사택 지붕에 달린 긴 고드름을 따 먹던 어린 시절 기억이 가장 따뜻하다. 바가지에 고드름을 가득 따 담아 덜덜 떨면서 이불을 뒤집어쓰고 와드득 와드득 깨물어 먹던 기억. ‘와드득’ 거리는 고드름 소리만큼이나 경쾌하고 기쁜 기억이다. 엄마와 난 어린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