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숙영의 Out of Costa Rica (14) * 코스타리카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필자 공숙영은 현지에서 마주친 다양한 인상과 풍경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중남미의 ‘낙태’- 현실과 전망⑤ “'생명’은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함부로 할 수 없다고 믿지만, 그것이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부인하고 나아가 억압하는 기제로 쓰인다면 이에 찬성할 수는 없지. 근데 사실 입장을 딱 잘라 말하기가 참 어렵다. 생명을 보호한다며 임신중절에는 그리 반대하지만 다른 뭇 생명과 생태계의 파괴에는 둔감한 쪽도 불편하고, 여성의 자기결정권만을 주장해 생명을 등한시하는 것처럼 보이는 쪽도 불편하거든.” 성당에 자주 나가지는 않지만 가톨릭 신자에 가까운 한 친구가 저에게 이런 말을 했습니다. 종교가 있건 아니건 간에 임신중절과 관련하..
4대강 공사로 신음하는 낙동강에서 지율스님을 만나다 “산에 가면 나무를 안아 보세요” 자전거도로를 내기 위해 훼손된 산길을 걷고 있던 낙동강 순례단에게 나무 한 그루를 어루만지며 지율스님이 말을 건넸다. 한 번이라도 나무를 품에 안아보았거나 나무의 몸에 손을 얹어 보았던 사람이라면, 스님의 말이 무엇을 뜻하는지 금방 알아차렸을 것이다. 나무에게도 체온이 있고, 마음이 있다는 것을. 파헤쳐진 숲 앞에서 목소리를 높이기 전에 나무의 숨결을 느껴보라고 낮게 이야기하는 이. 그 생명에 대한 남다른 태도가 천성산의 힘겨운 싸움에 이어 낙동강으로 지율스님을 이끈 것이리라. 작년 11월, 본격적인 4대강 사업 공사 시작과 함께 지율스님이 상주에 터를 잡고 낙동강 순례길을 연지 이제 7개월 남짓 되었다. 그 사이 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