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극장에서 성폭력은 안 돼’…공연예술인들의 약속안전한 작업환경을 위한 자치규약 ※ 필자 전강희 님은 공연 기록자이자 연극 드라마터그, 축제의 프로그래머로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 시카고 공연예술 자치규약인 ‘시카고 씨어터 스탠다드’를 국내에 번역 소개하였습니다. 페미니스트저널 바로가기 연극계 미투 운동 1년 후, 현장의 변화들 지금으로부터 1년 전, 2018년 2월은 연극계 내 성폭력 고발이 시작된 달이다. 이어서 3월까지 천재 예술가로 혹은 스타로 추앙받던 몇몇 연극인들이 구속되었다. 그리고 여러 대학의 연극 관련 학과에서 미투 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고작 2개월의 시간이 지나갔을 뿐인데도 1년은 더 된 시간을 보낸 것 같았다. 그 2달 동안, 공연을 만들기 위해 매진하는 삶과 일상을 유..
홍콩의 민주화, ‘우산혁명’의 현장을 찾아서자치와 민주주의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과 만나다 (구리하라 준코, 시미즈 사츠키 정리) 홍콩에서는 중국 중앙 정부의 선거 개입에 반대하며 2014년 9월 28일부터 12월 15일까지 시민들이 거리를 점거한 채 비폭력 민주화 시위를 벌였다. 홍콩 전 지역에서 1백만 명 이상이 참여한 이 시위를 ‘우산혁명’(Umbrella Revolution, 경찰이 최루액과 살수차를 동원해 진압하자 시민들이 우산을 들고 이를 막아낸 것에서 기인한 이름)이라고 부른다.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 이후, 홍콩은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를 적용하지 않고 기존의 정치 경제 시스템을 최소한 50년간 유지하는 일국양제(一國兩制)를 표방했다. 그러나 현실은 베이징 정부의 영향력으로부터 자유롭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