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어머니가 중국인이라는 것

 

남들과 무언가 다르다는 건, 특별함을 가져서 좋을 때도 있지만 어떤 경우는 부담스러울 때도 있다. 나는 자라면서 내가 남들과는 다르다는 것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해왔다.

 

나는 한국인 아버지와 조선족인 중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때에는 부모님의 국적이나, 우리 가정의 특색에 대해 별 생각이 없었다. 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고, 주변에서 많은 것을 보고 들으며 어떠한 이질감을 느끼기 시작했다.

 

유치원 때의 일이다. 어머니는 당시 유치원에서 중국어 교사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계셨는데, 나는 어머니가 근무하는 바로 그 유치원에 다니게 되었다. 아직도 잊지 못한다. 뒤에서 ‘아, 쟤가 중국어 선생님 딸이야?’ 라면서 수근거리던 목소리와 따가운 시선을. 당시 5~6살 어린 나이임에도, 부정적인 공기의 흐름을 읽기에는 충분했고 첫날부터 두려움을 느꼈다. 나는 집에 돌아와서 ‘왜 선생님들이 나를 그렇게 쳐다봤을까?’ ‘내가 마음에 들지 않으시나?’ 라는 생각에 사로잡혔다.

 

계속해서 떠오르는 부정적인 생각들 중 가장 크게 날 짓누른 생각은 ‘혹시 내 어머니가 중국인이라서 날 좋게 보지 않는 건가?’하는 거였다. 그 생각이 자리잡은 뒤, 나도 모르게 ‘중국’이라는 단어가 들리면 눈치를 살피게 되었다. 혹시 내가 유치원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면 선생님들이 ‘아, 역시 중국인의 딸이구나.’ 라고 생각할까 걱정이 되었다.

 

돌이켜보면 과장된 생각이지만, 한국인들 사이에서 태어난 친구들의 가정과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에서 태어난 내 가정이 다르다는 걸 유치원에서 처음 자각한 뒤에는, 나도 모르게 스스로를 한국인의 무리 밖에 두었던 것 같다. 그렇게 유아 시기는 교실에서 누군가와 쉬이 어울리지 못하며 책을 친구로 삼아 자랐다.

 

 

토종 한국인은 누구인가?

 

초등학교 때에는 사회·도덕 시간에 ‘모든 인간은 존중 받을 권리가 있다, 태어날 때의 국적 등은 정하지 못한다.’ 등의 내용을 배웠다. 나는 ‘그래, 내가 왜 이렇게 눈치를 보고 살아야 해. 어머니가 중국인이라고 해서 잘못된 건 없잖아.’라며 스스로를 다독였다. 그러면서 나 자신이 스스로를 배제했던 무리에 들어가려고 노력했다. ‘잘못된 건 없어, 나는 두 가지의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이점도 있고, 다른 나라의 음식과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쉽게 얻을 수 있어.’ 그렇게 생각하며 친구들에게 먼저 다가가 보기도 하고 말도 걸어 보며 학교라는 사회에 점차 적응해가기 시작했다.

 

시작은 괜찮았다. 친구들도 사귀고, 무리의 소속감도 처음 느껴보았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과의 관계가 나빠져 뉴스 기사에 오르기라도 하는 날에는 나도 모르게 친구들의 눈치를 보았다. 반 아이들 역시 뉴스를 보았기에, 그리고 그들은 완전한 한국인이기에 ‘중국이 무조건 나쁘다’고 했다. 심지어 누군가는 ‘중국인들 다 죽었으면.’ 이라고 말했다. 나는 가슴이 덜컹 떨어지는 느낌을 받았다. 사실 지금 이 문장을 쓰고 있는 순간에도 나는 두려움을 느낀다.

 

이런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우리 엄마도 중국인인데.’ 혹은 ‘중국이 다 잘못한 건 아닌데.’라고 말하고 싶은 것을 꾹 참았다. 또 다시 무리에서 배제되는 느낌을 받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친구들 말에 맞장구를 쳤다. ‘그래, 네 말이 맞아.’ 그러면서 속으로는 남모를 죄책감을 품게 되었다.

 

역사 시간에 과거 중국이 한반도에 대해 나쁜 짓을 했다고 배울 때면 나도 모르게 뜨끔하기도 했다. 내 어머니가 중국인이란 걸 숨겨야 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동시에 어머니에게도 내가 이렇게 생각한다는 걸, 어머니가 중국인이기 때문에 학교에서 눈치를 본다는 사실을 숨겨야 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친구들 눈에도 띄고 싶지 않았고, 어머니에게 이런 얘길 하면 어머니가 죄책감을 가질 것 같기에. 내게 미안하다고 말씀하실 것 같기에 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학교라는 작은 사회에 적응하고 SNS를 시작하며 조금 더 큰 사회를 마주했을 시점에는 내게도 용기가 어느 정도 자라있었다. ‘중국인들 다 죽었으면 좋겠다.’라는 말을 들으면 나는 굉장히 괴롭기 때문에, 그 말이 꼭 우리 어머니도 죽어야 한다는 말처럼 들리기 때문에 견딜 수가 없었다. 그래서 나는 이런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친구들에게 먼저 ‘아, 우리 어머니는 중국 분이셔.’ 라고 말하곤 했다. 처음으로 말할 땐 두려웠지만, 친구들이 ‘정말? 너 그러면 중국어 할 줄 알아?’ 라며 호기심을 드러낼 때에는 안심하기도 했다.

 

이렇게 모든 것이 잘 풀리면 좋으련만, 세상일은 단순하지가 않다. 가끔씩 농담으로 친구들이 ‘난 토종 한국인이야.’라고 말할 때가 있는데, 그러면 난 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나는 토종 한국인일까? 내 어머니는 중국인인데, 나도 토종 한국인이라고 말할 수 있는 자격이 있을까? 한국에서 태어나 국적도 한국인인 나의 자아는 내가 ‘토종 한국인’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밖으로 그렇게 말하기엔 왠지 껄끄러웠다. 그런 주제가 나올 때에면 불편함을 느끼며 웃어 넘기는 일이 다반사였다.

 

그 정도의 일화는 가벼운 것에 속했다. ‘중국인들이 한국의 땅을 사들이고 있다.’는 얘기, ‘한국인이 또 다시 장기매매를 당했다. 범인은 조선족이다.’라는 얘기가 온라인 상에서 떠돌곤 했다. 그런 내용을 보게 되면 나도 모르게 또 다시 위축되었고, 내 가정에 대해 타인에게 말하는 것이 꺼려졌다. 여전히 한국 사회에선 ‘중국인들 왜 저러냐’, ‘싸그리 다 잡아 죽여야 한다.’라는 말을 너무 쉽게 접할 수 있었다. 몇 명의 중국인 혹은 조선족이 어떤 범죄를 저지르면, 마치 전체 집단이 그런 범죄를 저지르기라도 한 것처럼 평하는 댓글을 많이 볼 수 있다. (후략)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