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번방 사건’이 공동체들에 주는 경고그동안 얼마나 많은 성폭력과 성차별을 묵인해왔나? ※ 지리산 산내마을에서 ‘텔레그램 n번방 성착취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며 모두에게 안전한 마을을 만들기 위해 1인 시위 중인 정상순 님의 글을 싣습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성착취, 성차별 문화에 경종을 울리고 안전한 마을을 만들기 위해서는 공동체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3월 24일부터 내가 사는 마을 삼거리에서 1인 시위를 시작했다. (정상순) 내가 속한 ‘성폭력 근절을 위한 지리산 여성회의’(이하 여성회의)는 2018년 2월, 산내 인드라망 공동체에서 발생한 성폭력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출범했다. 그 과정에서 지역공동체 내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자치 규약이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코로나19 공황 속에서 여성 연극인들의 안부를 묻다 연극연출가 강보름① ※ 2020년 많은 청년 페미니스트들이 다양한 페미니즘 주제를 예술로 표현하고 있고, 나아가 문화예술계 내 성폭력과 차별, 위계 등에 문제 제기하며 평등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로 또 함께’ 창작을 통해 사회와 소통하는 페미니스트 예술가들의 새로운 서사를 기록합니다. 이 기획은 한국여성재단 성평등사회조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2020년은 연극의 해’ 무색한 코로나19 사태 나는 청년 창작자인 동시에 페미니스트이다. 대학의 울타리를 벗어날 무렵 페미니즘 리부트의 세례를 받았고, 내가 처한 일상의 문제에 대해 자각하기 시작했다. 이를 연극이라는 사회적 틀을 통해 탐구해보고 싶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