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히는 사람에서 찍는 사람으로 사진작가 김지혜 2020년 많은 청년 페미니스트들이 다양한 페미니즘 주제를 예술로 표현하고, 문화예술계 내 성폭력과 차별, 위계 등에 문제 제기하며 평등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따로 또 함께’ 창작을 통해 사회와 소통하는 페미니스트 예술가들의 새로운 서사를 기록합니다. 이 기획은 한국여성재단 성평등사회조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편집자 주] 올해 초 트랜스젠더 여성 신입생의 여대 입학을 둘러싸고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은 우리를 절망과 무력감의 늪에 빠지게 했다. ‘오픈리 퀴어’(커밍아웃한 성소수자)이자 페미니스트라는 정체성을 공개한 채로 활동하는 나로선 트랜스젠더들을 향해 쏟아지는 날것의 혐오 발언들이 너무 고통스러웠다. 이와 동시에 나를 지..
사랑은 무엇도 해치지 않으니까[Let's Talk about Sexuality] 7년 만에 긴 머리를 자르다 (물달) ※ 는 여성들의 새로운 성담론을 구성하기 위하여, 20인의 여성이 몸과 성과 관계에 대한 다양한 가치관과 경험을 담은 “Let's Talk about Sexuality”를 연재합니다. 이 기획은 한국여성재단 성평등사회조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페미니스트저널 바로가기 그놈의 여성스럽다는 게 뭔지… “그럼 자를게요.” 확인하듯 미용사가 말했다. “네, 그럼요.” 나는 경쾌하게 답했다. 삼십 센티가 넘는 머리카락이 시원하게 잘려나갔다. 이 무거운 걸 어떻게 달고 다녔을까. 바닥에 머리카락이 수북했다. 머리를 짧게, 그것도 아주 짧게 잘라달라고 했을 때 미용사는 “괜찮겠어요?”라고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