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번방’ 예방책…페미니즘교육, 포괄적 성교육 제도화하라21대 국회 성평등 정책 가이드라인① 21대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가 바로 코앞으로 다가왔다. 그런데 ‘깜깜이 선거’라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정책과 공약에 대한 이야기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 나물에 그 밥’인 남성중심 정치판도 바뀌지 않을 모양새인 탓에 총선을 향한 관심이 줄어들기도 한다. 하지만 이번 총선은 유례없이, 출사표를 던진 ‘여성 청년’ 후보들이 가감 없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모습을 보게 된 선거이기도 하다. 정보가 중요하다. 중구난방 정치판이지만, 많은 시민단체가 다양한 캠페인을 통해 주요 이슈를 강조하고 있으며 꼼꼼하게 정리한 정책 제안도 발표했다. 선거 전 후보 검증에 유용할 기준이 될 뿐 아니라, 선거 이후 국회에 입성..
위험한 캐노피 위, 수납원들은 어떻게 98일을 버텼나톨게이트 요금수납 노동자들의 투쟁이 남긴 것② ※ 작년 6월, 해고된 톨게이트 요금수납 노동자들이 서울톨게이트 캐노피에 오르면서 이들의 실태가 알려졌다. 공공부문이 얼마나 많은 용역 노동자를 쥐어짜며 운영해왔는지 폭로하면서, 여성 노동자들은 한국도로공사에 ‘직접고용’을 요구하며 217일간 농성했다. 결국 도로공사는 ‘전원 직접고용, 2015년 이후 입사자는 (근로자지위확인소송) 패소 시 직접고용 해제’안을 발표했고, 지난 2월 톨게이트 노동자들은 농성을 해산했다. 그러나 이들의 싸움이 끝난 건 아니다. ‘공공부문 정규직화’라는 과업을 둘러싸고 사회에 큰 화두를 던진 톨게이트 노동자들의 투쟁을 돌아보며, 그 의의와 사회적 과제를 짚는다. [톨게이트 투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