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숭고함을 비웃고 해학으로 되살아나다 공연창작집단 뛰다의 [여성주의 저널 일다] 이성곤 ‘권력을 둘러싼 인간의 탐욕과 사악함이 빚어내는 갈등과 복수의 비극성.’ 셰익스피어 의 ‘영원한’ 주제다. 그러나 여기 의 비장미와 숭고함을 비웃는 한 편의 연극이 있다. 공연창작집단 뛰다의 이 그것이다. 의정부 예술의전당에서 첫 선을 뵌 에서는 고귀한 비극의 주인공 대신 익살광대들이 등장해, 생에 대한 집착에서 빚어지는 실존적 갈등과 고민을 거침없이 조롱하며 인간 삶의 덧없음을 노래한다. 숙부이자 아버지인 클로디어스, 어머니이자 숙모인 거투루드. 그 사이에서 갈등하는 햄릿. 마치 오래된 오이디푸스의 테제(These)를 연상시키는 햄릿의 비극성은 머리만 있고 몸통이 없는 해골인형으로 희화화된다. 존재론적 고민에만..
여성의 몸이 불쌍하다는 산부인과 의사 여성의 몸과 산부인과 병원은 많은 연관을 갖고 있다. 어렸을 땐 출산과 관련한 것만 떠올렸지만, 이제 많은 ‘여성질환’이라 불리는 질병들을 산부인과에서 진료한다는 걸 알게 됐고 어떤 병원들은 성교육도 실시하는 걸 봤다. 특히 요즘은 산부인과들이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 십대들에게 손을 뻗치고 있다. 어떤 면에선 긍정적이다. 예전엔 순결 이데올로기와 낙태 시술 같은 이유로 산부인과 병원에 대한 이미지 자체가 안 좋아서 혼전의 여성은 산부인과에 대해 무지하거나 무서워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어릴 때부터 몸의 생리나 건강에 신경을 쓰고 몸에 이상증세가 나타났을 때 즉시 진찰을 받는 자세를 갖는 것은 개인적으로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허나 현재 관련업계라고 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