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르타뉴에서 보낸 편지] 꽁부르성, 조슬랭성, 그리고 지롱성 하늘을 나는 교실’의 필자 정인진 님이 프랑스의 서북부 브르타뉴 지방에서 머물면서 보고 느낀 것들을 기록한 ‘브르타뉴에서 보낸 편지’가 연재됩니다. www.ildaro.com 브르타뉴에 성이 많다는 것은 이곳에 직접 와서야 알았다. 많은 성들은 옛날 프랑스군의 침입을 막기 위한 요새성이었고, 프랑스에 복속된 1400년 말 이후에는 방치되어 있던 것을 귀족들이 사들여 주거지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 성들은 여전히 그 후손들이 소유한 개인 재산인 경우도 있고, 시에서 사들이거나 기증받아 시민들을 위한 장소로 쓰이기도 하고, 아쉽게도 무너져 폐허로 존재하는 곳들도 있다. 샤또브리앙 가문이 소유한 ‘꽁부르성’의 절경 이런 성들 가운데 하나가 ‘꽁부르성..
공연을 앞두고① 섹슈얼리티는 ‘선택의 문제’ 공연창작집단 는 2010년부터 인도 팀과의 공동작업을 추진해왔으며, 2012년부터 작업의 주제를 ‘이분법적으로 나뉘어지지 않는 성(性)’으로 정하고 이에 대해 탐구해 왔다. 오랜 기간에 걸친 공동작업은 마침내 올해 4월 한국에서 (Beyond Binary)라는 제목을 달고 관객들 앞에 선보이게 된다. 남/녀 둘로 나누어지지 않는 성(性)에 관한 가능성을 처음 엿보게 된 것이 인도의 여신 바후차라 마타와, 이 여신을 모신(母神)으로 섬기는 히즈라(hijras. 남성도 여성도 아닌 제 3의 성으로 불리는 사람들) 커뮤니티였다. 그래서 공연을 앞두고, 이에 관한 연재를 인도 신화에서부터 시작해 보려 한다. 신화는 우리에게 무슨 의미를 지니는가 ▲ 2014년 4월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