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백래시 시대, 페미니즘 다시 쓰기] 학력차별 반대운동가의 ‘돌봄 선언’

 

※ 페미니즘에 대한 왜곡과 공격이 심각한 백래시 시대, 다양한 페미니스트들의 목소리로 다시 페미니즘을 이야기하는 “백래시 시대, 페미니즘 다시 쓰기” 스무 편이 연재됩니다. 이 기획은 한국여성재단 성평등사회조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일다]

 

능력주의의 반대말

 

나와 동료들은 지난 4월, 『돌봄 선언: 상호의존의 정치학』이라는 책을 함께 읽었다. 이 책을 쓴 ‘더 케어 컬렉티브’는 2017년 영국 런던에서 학술모임으로 시작한 단체로, 오늘날 세계적으로 ‘돌봄’이 마주한 다면적이고 심각한 위기 상황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성되었다고 한다.

 

내가 활동하고 있는 ‘투명가방끈’은 11년 전 대학입시거부 선언자들의 조직으로 시작해 학력차별반대 운동을 해오고 있는 단체이다. 작년부터 조직 내 안티-능력주의팀을 결성해 능력주의 사회에서 다른 삶을 상상을 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안티-능력주의팀 결성 첫 해에는 팀원들끼리 『능력주의와 불평등』(박권일, 홍세화, 채효정, 정용주, 이유림 지음, 교육공동체벗, 2020)을 읽었다.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 능력주의가 왜 비판되어야 하는지 함께 고민하고, 능력주의 비판에 대한 악플에 반박하는 영상을 찍거나, 카드뉴스를 만들었다. 그리고 올해 상반기는 ‘투명한 책갈피’라 이름 붙인 책모임을 통해, 회원들과 능력주의 대안 모색을 주제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렇게 함께 선정한 책이 『돌봄 선언』이었다.

 

▲ 투명가방끈 활동가들과 책모임 신청자들이 『돌봄 선언: 상호의존의 정치학』(더 케어 컬렉티브 지음, 정소영 옮김, 니케북스, 2021)을 함께 읽었다. ©투명가방끈

 

능력에 따라 차등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가치이념이 능력주의다. 동시에 능력에도 위계가 있다고 간주한다. 능력주의 사회에서 가장 낮은 등급은 쉽게 말해 돈도 명예도 재생산해내지 못하는 능력이다. 그 다음으로 낮은 등급이 있다면 아마 돈, 그러니까 재화는 벌 수 있지만 재화를 벌어들이는 생산구조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혹은 다른 일자리로 상향 이동할 수 있는 경력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수많은 저임금 노동력이 이를 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반면, 가장 좋은 능력은 재화를 벌어들이는 생산구조를 소유하고 있거나, 상향 이동할 수 있는 경력으로 인정받는 능력들이다. 부동산이나 고학력, 학벌 등이 대표적이다.

 

그렇다면 능력주의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물론, 내가 정답을 알고 있는 건 아니다. 지금 이 글을 읽는 독자들은 무엇을 떠올릴지 너무 궁금하다. 나는 우선 내가 이 사회에서 획득해야 한다고 압박을 받았던 ‘능력’을 얻기 위해 무엇을 가장 많이 희생하고 있는지, 무엇을 가장 저평가했는지 되돌아보았다. 그게 바로 ‘돌봄’이었다.

 

돌봄은 신자유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가장 능력으로 평가 받지 못하는 지대이기도 하다. 돌봄은 돈을 벌어다 주지 않으며, 사회적인 명예를 누릴 수 있는 일도 아니고, 다른 일자리로 상향 이동할 수 있는 경력으로 인정받지도 못한다. 게다가 돌봄은 매우 귀찮은 일이기까지 하다. 반드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며, 심지어 숙련이 필요한 일이다.

 

누군가의 돌봄 없이 살아갈 수 있는 개인은 존재하지 않는다. 돌봄은 개인과 공동체, 나아가 사회가 안녕할 수 있게 하는 가장 중요한 밑거름이다. 하지만 나는 유년기에 가족들을 돌보기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하는 것처럼 보이는 엄마를 지켜보며, 나는 어른이 되면 아무도 돌보지 않겠다고, 나는 나만 돌봐도 되는 사람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나는 절대 엄마처럼 살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수많은 딸들 중 한 사람이었다.

 

퀴어 페미니스트, 우리가 서로를 돌보지 않는다면

 

2010년대 중간 언저리에 나는 퀴어이자 페미니스트로 스스로를 재정체화 했다. 당시는 수많은 권력형 성범죄와 온라인 성범죄, 페미사이드(여성살해) 사건에 비로소 이름이 붙여지기 시작한 시기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나는 단순히 페미니즘을 공부하는 것을 넘어서 페미니스트로서 다른 페미니스트들과 만나고, 페미니즘 운동을 함께하게 되었다.

 

퀴어로서 연대하는 것은 또 다른 과정이었다. 나는 친구들이 아니었다면 어쩌면 영원히 퀴어로 재정체화 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내 친구들은 우리 엄마한테 ‘나쁜 친구’들일 것이다. 나에게는 연대를 통해 퀴어로 살아갈 용기를 가질 수 있었다. 그래서 정체화 한 이후에는 더 열심히 퀴어들을 찾아다녔다. 고립되고 싶지 않아서 열심히도 찾아다녔던 것 같다. 그렇게 만난 소위 ‘나쁜 친구’들 덕분에 내가 아직 살아있다.

 

이렇게 ‘나쁜 친구’들인 퀴어와 페미니스트들의 ‘돌봄’이 있었기에 내가 죽지 않을 수 있었다는 것을 떠올리면, 과거에 엄마를 지켜보며 어른이 되면 아무도 돌보지 않겠다고 다짐했던 시간들이 낯설게 느껴지기도 한다.

 

▲ 차별금지법 제정을 촉구하는 청소년인권단체 공동 기자회견에서 발언 중인 연혜원 투명가방끈 활동가 모습 ©투명가방끈

 

퀴어와 페미니스트들의 돌봄이라고 말하면 너무 아름답게 들리지만, 사실 그 시간들은 끔찍할 때가 더 많았다. 돌봄이라는 것은 단순히 응원을 보내는 행위가 아니다. 접촉해야 하고 감정을 끌어 안아야 하며, 타자와 같은 시공간에 머물러야 하고, 돌발적이고 우발적이며, 때론 예측 불가능하다. 돌봄은 서로의 밑바닥을 보여줘야 하는 일이자 그 밑바닥을 쓸고 닦아줘야 하는 일인 것이다. 타자의 타액을 받아내고, 배설물을 치워주는 일이 바로 돌봄이다. 세상에 우아한 돌봄은 없다.

 

취약한 사람들끼리 모이면, 안그래도 번거로운 돌봄이 한층 더 심란해지고 끔찍해진다. 내가 겪은 퀴어와 페미니스트들의 돌봄이 그러했다. 우리는 자주 소진되고, 서로에게 화가 났으며, 서로가 미워졌고, 걱정됐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세상이 인정해주는 능력을 가지지 못해서 우리가 이러고 있는 게 아니라는 사실을 입증해야만 한다는 압박을 느꼈다. 그래야 우리의 존재도, 운동도 인정받을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이를테면 이런 기분이다. 충분히 노력하면 남자만큼 신체적으로 강해질 수 있음을 입증해야할 것만 같은 기분, 좋은 학벌을 취득해서 사회로부터 인정받는 네트워크 안에 들어가야만 할 것 같은 기분, 열심히 노력해서 일터에서 승진하여 소위 ‘정상’에서 만나기 위해 노력해야만 할 것 같은 기분, 내가 하고 싶은 예술을 하더라도 반드시 국가기관으로부터 인정받는 예술을 해야만 할 것 같은 기분…. 그렇다. 바로 이 사회의 능력주의가 주입하는 기분인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소수자 운동을 한다는 것은 능력주의에 더욱 취약해지는 일이기도 했다. 비가시적인 존재들이 능력주의 사회에서 가시적이 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사회가 인정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니까. 그래서 퀴어 페미니스트인 우리는 능력주의에 편승해야 할 것 같은 압박과 갈등을 느꼈고, 그럴수록 서로를 돌보고 서로에게 의존하는 일은 끔찍한 것이 되어 갔다.

 

하지만 서로를 돌보지 않는다면, 궁극적으로 퀴어로 살아가면서 페미니즘을 실천하는 일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리고 오랜 역사에서 돌봄은 언제나 여성을 비롯한 약자들의 희생으로 이뤄진 비가시화 된 노동이 아니었는가! 내가 보고 자란 엄마의 노동과 같이 말이다. 돌봄을 계속해서 약자의 노동으로 떠넘기고 나 스스로에게도 비가시화 된 영역으로 만들 것인가? 결국, 나에게 돌봄은 가장 큰 화두가 되었다. 그리고 돌봄을 고민하는 일이 곧 능력주의에 저항하는 일이라는 걸 깨닫게 되었다. <<계속>>

▶ 집에 관해 이야기하지 않았던 12가지!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

 

 

네가 좋은 집에 살면 좋겠어

제 삶을 따뜻하고 꿋꿋하게 살아가는 여성 열두 명이 밀도 있게 들려주는 주거생애사이자, 물려받은 자산 없이는 나다움을 지키면서 살아갈 곳을 찾기 어려워 고개를 떨구는 독자들에게 조심스

www.aladin.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