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실은, 성교육 못 받아본 성교육 강사입니다

달리의 생생(生生) 성교육 다이어리: ‘제대로 된 성교육’이란?



남학생들의 성희롱, 해결책은 ‘안전벨트’?


초등학교 6학년이 되자 2차성징이 시작되면서 가슴이 나오고 초경을 시작하는 친구들이 점점 많아졌다. 누군가 브래지어를 하고 학교에 오면 여자아이들도 속옷 끈이 드러나는 그 아이의 등짝을 신기하게 바라보았고, ‘사실은 나 생리해’하고 단짝에게 몰래 비밀을 털어놓기도 했다.


그사이 남자아이들은 우리의 신체적 현상을 신나는 놀잇감으로 삼았다. 복도에서 몰래 다가와 브래지어 끈을 튕겨 친구들 사이에서 웃음거리로 만들고, 엄마 생리대를 가져와 거기에 빨간 칠을 하고 여자아이들에게 던지며 더럽다고 조롱했다. 나는 브래지어나 생리대를 하고 학교에 가는 게 매일 공포스러웠다. 누군가 내 몸을 만지거나 놀릴까 봐 두려워 교실에서 내내 얼어붙어 있었다. 여자아이들이 화내거나 울어도 남자아이들의 ‘장난’은 점점 더 심해졌다.


이를 지켜보던 담임선생님은 어느날 결심한 듯 여자아이들만 교실에 남기고 남자아이들에게 축구공을 하나 던져주며 운동장으로 내보냈다. 선생님이 그 시간을 ‘성교육’이라 불렀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 우리는 그동안 남자아이들에게 당한 일들을 하나하나 말하며 선생님께 도움을 요청했다. 가만히 듣던 선생님은 우리에게, “안전벨트를 꼭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남자아이들은 저 나이 때 짐승과 같아서 너희보다 미개하다, 걔들을 자극하지 않도록 너희가 평소 안전벨트(브래지어)를 꼭 해라.”


이번에는 우리가 선생님의 말씀을 가만히 듣고 있었다. 그땐 뭔가 수긍이 가고 납득이 되었던 것 같다. 어렸지만 ‘내가 (남자아이들을) 이해해야겠구나’ 생각했다. 축구를 다 하고 돌아온 남자아이들은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우리에게 “왜 여자애들만 남았냐”, “선생님이 무슨 말을 했냐”고 캐물었다. 우리는 약속한 듯이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남자아이들이 ‘짐승’처럼 날뛸수록 여자아이들의 비밀과 은어는 늘어갔다. 우리는 안전벨트 속에 꼭꼭 숨어 있었다.


2018년 월경페스티벌에서 불꽃페미액션의 ‘찌찌해방’ 퍼포먼스. 이들은 남성의 반라 사진은 그냥 두면서 여성의 반라 사진만 삭제한 페이스북코리아 규정에 항의하며, 본사 앞에서 다시금 가슴을 드러내고 시위를 벌였다. ⓒ일다


아주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안전벨트’라는 말은 내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아빠보다도 나이가 많았던 담임선생님은 우리 속옷의 명칭도 차마 입 밖으로 말할 수 없었나 보다. 그래도 왜 하필 운전할 때 생사를 가르는 도구인 안전벨트에 비유했을까. 내 가슴이 그렇게 위험천만한 것인가. 브래지어가 나의 목숨을 지키는 능력을 갖고 있나.


공포스러운 순결교육과 불순한 순결캔디


아마 학교에서 정식으로 ‘성교육’이라 부른 처음이자 마지막 수업이었을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무렵, 학급마다 과학실로 모이라는 방송이 나왔다. 과학실에 갈 때마다 차가운 공기와 알코올 냄새가 어우러져 기분도 절로 서늘해졌는데, 그날따라 까만 암막커튼을 모두 닫아 공포영화 보기에 딱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침 선생님들이 비디오를 틀어주었다. 알고 보니 ‘낙태’에 관한 영상이었다. 영상이 끝나고 수업에서 뭐라고 했는지는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우리는 영상 내용에 다같이 충격받았고 ‘낙태는 끔찍한 일’, ‘살인’이라는 생각이 지워지지 않았다.(그것이 조작된 영상임은 십수 년이 지나서야 알게 되었다.)


수업을 마칠 때쯤 선생님이 박하사탕을 가져와 순결의식을 치르겠다고 했다. 이건 ‘순결캔디’라 오늘 먹으면 결혼할 때까지 성관계를 하지 않기로 맹세해야 한단다. 친구들 몇 명이 앞으로 나가 신성한 것을 떠받들듯 두 손으로 사탕을 받았다. 나는 사탕 받기를 거절했다.


“저는 결혼 전에 성관계를 할 것 같아요. 순결 지키기 싫어요.”


성폭력, 임신 문제에 봉착한 십대여성들과 만나며


대학에서 페미니즘 동아리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나의 성 지식이나 성에 관한 의식 수준은 안전벨트와 순결캔디에서 멈췄을 가능성이 높다. 페미니즘 공부를 하면서 처음 ‘성적 주체로서의 나’를 인식하게 되었고,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은 여성의 몸에 관한 정보와 지식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지난겨울 문화기획달에서 처음 시도한 마을 청소년 성교육 동아리 활동을 통해, 토론과 참여활동 중심의 수업을 진행했다. (출처: 달리)


나는 페미니즘을 배우는 사람이었지 가르치는 사람이 되리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그런데 몇 년 전, 농촌 지역에서 십대여성들을 상담하며 성폭력 피해나 임신에 관한 경험을 여러 번 듣게 되었다. 대부분 가정에서의 보호나 지원이 취약한 이들이었다. 지역사회 또한 이런 문제를 가십거리로 소비하거나, 피해자에게 낙인찍는 분위기가 강했다.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없어 상담이 끝나고 나서 꽤 오래 자책의 시간을 보냈다. 왜 이들의 이야기가 내게도 고통으로 다가올까 들여다보았다.


성폭력의 상처, 임신에 대한 고민은 나의 과거를 그대로 찍어놓은 듯한 이야기들이었고 언제고 내 문제로 닥쳐올 일이었다. 어느 누구에게만 해당하지 않고 여전히 끊어지지 않는, 모든 여성의 삶을 관통하며 뒤흔드는 일이었다. 상담자로서, 지역공동체의 동료 시민으로서, 같은 여성으로서, 누구에게도 성에 관한 고민을 나눌 수 없는 십대를 똑같이 보낸 사람으로서 내가 할 수 있는 일, 지금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다.


이들과 같은 십대여성이던 시절의 나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했을까. 지금의 이들에게도 똑같이 필요한 게 뭘까. 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물어볼 수 있는 사람. 결국, ‘제대로 된 성교육.’ 그걸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고 마음먹고, 얼마 뒤 성폭력 예방교육 강사 양성과정에 등록했다. 

 

(이 기사는 일부 요약문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실은, 성교육 못 받아본 성교육 강사입니다)
 

 

 일다 기사를 네이버 메인에서 보세요!  일다 뉴스편집판 구독 신청!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