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화감성 충전

파리는 불타고 있다

일다 2019. 11. 12. 08:30

꿈꾸던 나, 꿈꾸던 가족이 현실이 되는 공간, ‘볼’

<파리 이즈 버닝> ‘볼 문화’는 어떻게 소수자들의 안식처가 됐나

 

 

현실에선 아마도 절대 일어나지 않을 일들을 상상할 때가 있다. 세상일이 좀처럼 잘 풀리지 않을 때, 열심히 살고 있는데도 나를 둘러싼 좀처럼 세상은 변하는 것 같지 않을 때, 날 둘러싼 편견과 오해와 차별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완전히 다른 내가 될 수 있는 어디론가 도망가고 싶어지는 욕망에 사로잡히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무슨 옷이 어디 있는지조차 알 수 없는 엄청나게 큰 옷방에서, 눈에 단번에 띄는 가장 화려한 옷을 골라 입고 돔XXX 샴페인을 잔에 들고 우아하게 현악 콰르텟 연주를 듣는 나를 상상하거나, 지금과 전혀 다른 일을 하는 모습을 상상하는 것 말이다.


만약, 그런 나를 ‘재현’할 수 있는 ‘어딘가’가 실제 존재한다면 어떨까?


1980년대 뉴욕에서 볼 문화를 만들어 낸 이들을 조명한 다큐멘터리 영화 <파리 이즈 버닝> 포스터 

(제니 리빙스턴 감독, 1990) ©Jennie Livingston/Janus Films


미국 흑인 클럽에서 시작된 ‘볼 문화’


‘볼’(Ball)이 바로 그런 곳이다. 보통 볼이라고 하면 디즈니 영화 속 신데렐라가 요정의 도움을 받아 예쁘게 단장하고 왕자를 만나러 가는 무도회장을 떠올릴지 모른다. 이번에 이야기할 볼은 조금 다른 볼이다. 물론 기본적인 컨셉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볼에 가는 날을 위해서 의상과 소품을 준비하고 때론 보통 현실에선 입지 않는/못하는 것을 차려입기도 하니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볼은 ‘드랙’(Drag)을 한 이들이 모델처럼 ‘워킹’을 하고 ‘보깅’(Voguing, 패션 잡지 ‘보그’에서 따온 말로, 모델들이 취하는 포즈를 반복하며 춤을 추는 형태. ‘볼 문화’가 탄생시킨 예술 중 하나)을 추면서 자신을 뽐내는 자리다. 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다.


※ 드랙(Drag)이란? 주로 무대 연기의 일환으로, 젠더 범주의 대단히 과장된 표현에 일시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일컫는다. 그 젠더 범주는 한 사람이 통상적으로 점하는 젠더 범주와는 흔히 다르지만, 항상 다르지는 않다. <페미니즘을 퀴어링!>(미미 마리누치 지음, 권유경·김은주 옮김, 봄알람) 참조


1980년대 미국 뉴욕에서 가장 열정적인 볼 문화를 만들어 낸 이들을 조명한 다큐멘터리 영화 <파리 이즈 버닝>(Paris is burning, 파리는 불타고 있다, 1990년, 제니 리빙스턴 감독)에서 등장인물들은 볼을 이렇게 설명한다. “현실과 전혀 다른 곳”, “내가 나 자신일 수 있고 편안해질 수 있는 곳”, “명예와 돈, 인기를 얻고 조명받는 일에 가장 가까워질 수 있는 공간.”


그런데 왜 이들은 현실 세계에서 명예와 돈, 인기를 얻고자 ‘노오력’하지 않고 굳이 볼에서 그것과 가장 가까워질 수 있는 ‘가짜현실’을 만들어 대리만족하는 일에 매달렸을까? 그 의문을 풀기 위해선 ‘누가, 왜’ 볼에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볼은 1869년 뉴욕 빈민가 할렘에서 최초로 시작되었다. 흑인들이 모이는 클럽에서 남성이 여성 복장을 하고 여성이 남성 복장을 하고 놀면서 가장 멋있는 복장을 한 사람에게 트로피도 주며 노는, 퀴어(queer)들을 위한 행사였다. 사회에서 가시화되지 못하고 억압받는 퀴어들이 모일 수 있는 장소였으니, 점점 더 많은 이들이 모여든 건 필연적인 결과였다. 또한 볼이 열렸던 흑인 클럽들은 상대적으로 입장료가 저렴한 편이어서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었다.


볼은 ‘할렘 르네상스’(Harlem Renaissance, 1920년~1930년대 할렘 지역에서 음악, 미술, 시 등의 흑인 예술이 크게 부흥한 시기)와 함께 성장했다. 1936년엔 약 8천 명이 모일 정도로 규모가 커졌다.


<파리 이즈 버닝> 중 ©Jennie Livingston/Janus Films


하지만 볼이 인기를 얻고 백인들의 참여가 늘어나면서, 행사가 백인들 기준에서 좌지우지되기 시작했다. 볼은 백인 중산층 게이들의 패션쇼로 변모해갔다. 흑인 참가자들이 트로피를 받기 위해선 최대한 백인에 가깝게, 그러니까 피부를 좀 더 밝게 화장을 해야 했다.


흥미롭게도 <파리 이즈 버닝>은 1987년 뉴욕의 풍경 중 ‘백인 우월주의(White Supremacist) 교회 전국대회 시작’이라는 안내 광고가 나오는 걸 보여 주며 시작한다. 사회가 여전히 백인 중심이라는 걸 보여 주는 의미심장한 메시지다.


갈 수 있고 놀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았던 이들을 위한 볼이 점점 변해가자 흑인 퀴어들은 1960년대 들어, 다시 흑인과 비(非)백인들을 위한 볼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렇게 성 정체성, 인종, 계급 정체성에서 밀려나고 또 밀려난 이들이 만든 것이 바로 1970~1980년대를 뜨겁게 달궜으며 여러 예술 장르와 예술인들에게 영향을 끼친 ‘볼 문화’다


그러니까 볼은 ‘가짜현실’이 아니라 현실에서 노력을 거듭한 이들이 그럼에도 다다를 수 없었던 세계를 스스로 구현해낸 ‘또 다른 세계’라고 할 수 있다.


‘흑인 귀족’ ‘트랜스 여성’ 등 사회가 인정하지 않는 정체성


볼에선 자기 자신을 마음껏 뽐낼 수 있었고 또 다른 누군가가 되는 기분을 만끽할 수 있었다. 볼에 참가한 이들의 그런 꿈들을 구현한 건 ‘카테고리’(Category)다. 볼은 매번 다양한 카테고리를 마련해 다양한 이들의 참여를 이끌었다.


주요 카테고리는 트랜스젠더 여성(femme queen)이 시스젠더 여성 속에 섞였을 때 얼마나 ‘티 나지’ 않고 ‘리얼할 수 있을지’(Realness)를 경연하는 것, 남성 동성애자(butch queen)가 이성애자 남성 속에 섞였을 때 얼마나 ‘티 나지’ 않고 ‘리얼할 수 있을지’(Realness)를 경연하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이 카테고리를 통해 참가자들은 현실 사회가 ‘인정’하지 않는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드러내는 건 물론이고, 전통적 ‘여성성/남성성’은 사실 타고나는 게 아니라 그저 수행하는 역할에 불과하다는 걸 보여주었다.


인종이나 계급을 뒤집어 노는 카테고리도 있었다. 당시 흑인들이 될 수 없었던 ‘대기업 간부’나 화려한 옷과 액세서리로 온몸을 감싼 ‘귀족’, 혹은 책을 들고 캠퍼스를 걷는 ‘대학생’을 기깔나게 재현할 수도 있었다.


▲ TV 드라마 시리즈 <포즈> 중에서.  ©FX


참가자들은 자신의 모든 걸 털더라도 단지 백일몽에 불과한 볼에 열정을 쏟아부었다. 그들 중 많은 이들이 내일을 보장받을 수 없는 불안한 삶을 살고 있었던 탓이기도 하다. 당시 게이 커뮤니티는 AIDS의 공포에 떨어야 했고, 트랜스젠더 여성들은 직업을 구할 수 없어 성매매에 내몰렸으며 쉽게 죽임을 당했다. 그리고 그 죽음은 경찰, 사회, 국가로부터 외면당하기 일쑤였다.


분명 볼은 현실과 달랐다. 하지만 마치 ‘도장 깨기’처럼 도전할 수 있는 카테고리는, 참여자들에게 어떤 꿈으로 향해 가는 계단처럼 느껴지지 않았을까.


각자 자신이 원하는 대로 만든 대안가족, ‘하우스’


볼에 모인 사람들은 가진 게 없었고 외로운 사람들이었지만 볼을 통해 자신들만의 커뮤니티를 만들어냈다. 그 안에서 탄생한 게, 볼 문화의 기본이며 절대 빠질 수 없는 뼈대라고 할 수 있는 ‘하우스’다.


크리스탈 라베이자(Crystal LaBeija)가 처음 만들었다고 알려진 ‘하우스’는 일종의 대안 가족이다. 볼 문화 안에서 많은 하우스들이 탄생했으며 이들은 ‘하우스 오브 OOO’으로 불렸다. 예를 들어 크리스탈 라베이자가 만든 하우스는 ‘하우스 오브 라베이자’라고 하는 방식이다.


하우스가 왜 생겼는지는 앞서 언급한 당시의 사회적 환경과 볼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면 쉽게 유추할 수 있다. 당시 하우스를 이룬 구성원들은 트랜스젠더 여성(femme queen), 남성 동성애자(butch queen), 트랜스젠더 남성(butches), 퀴어 여성(women)으로 분류된 이들이었다. 아직 퀴어 인권이 전혀 보장되지 않았던 시절(스톤월 항쟁이 1969년이었다는 걸 참고)이었고, 비(非)백인들도 사회나 원 가족으로부터 안전을 보장받을 수 없었다.


가족과 커뮤니티에서 버림받거나 쫓겨난 이들은 필사적으로 동료를 찾으려 했다. 먼저 볼을 경험하고 거리 생활을 하며 ‘경험’을 쌓은 이들이 거리로 떠밀린 이들을 끌어안으면서 ‘엄마’ 역할을 자처하며 ‘하우스’가 만들어졌다. ‘엄마’들은 ‘자녀’에게 볼을 알려주고, 볼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이끌었다. 그뿐 아니라 볼 밖의 세계인 현실에서 퀴어로서 살아가는 지혜와 팁을 공유했고 서로를 보살폈다.


특히 ‘하우스’에선 ‘엄마’의 역할이 중요했다. ‘엄마’는 명예로운 자리였고 볼에서도 매년 ‘최고의 엄마’를 선정할 만큼 그들을 대우했다. ‘하우스 오브 닌자’의 ‘엄마’로 많은 ‘자녀’에게 춤을 가르치고 그들을 보살핀 윌리 닌자(Willi Ninja, ‘보깅’이 댄스 장르로 정착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인물)는 <파리 이즈 버닝>에서 “하우스에서 ‘엄마’라는 건 가장 ‘여성스러운’ 사람이 되는 게 아니라, 가장 능력 있고 가장 존경받는 사람의 자리”라고 강조한다.


다큐멘터리 <파리 이즈 버닝>의 픽션 버전이라 할 수 있는 TV 드라마 시리즈 <포즈>(Pose, 미국 FX 채널 2018년부터 방영 중)에서도 ‘하우스 오브 이반잴리스타’의 ‘엄마’인 블랑카가 하우스 멤버들이 절대 마약을 할 수 없도록 엄포를 놓는 반면, 댄서의 자질이 보이는 ‘자녀’를 위해 아낌없이 지원하는 등 탁월한 리더의 모습을 보이는 것도 ‘엄마’의 힘이다.


<파리 이즈 버닝> 중 ©Jennie Livingston/Janus Films


‘하우스’ 문화가 아름답기만 한 건 아니었다. 볼은 트로피를 가지기 위해 경연을 하는 곳이었고 ‘하우스’가 늘어날수록 그들끼리 견제하고 ‘디스’(볼 문화에선 쉐이드[Shade]라고 불렸음)하며 경쟁하는 일도 많아졌다. ‘하우스’ 내 권위를 가진 ‘엄마’가 힘을 잘못 행사하는 일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하우스’가 당시 그 어디에서도 보호받지 못한 이들을 위한 ‘집’이 되어주었음은 틀림없다.


그래서, 요즘 내가 볼에 꽂힌 건지 모르겠다. 닿을 수 없는 평등한 세상은 좀처럼 가까워지지 않고, 나를 드러낼 수 있는 공간도 오히려 줄어든다고 느껴지니까 더 많은 동료들을 찾고 싶어져서.


볼도 완벽한 공간은 아니었지만, 볼의 역사를 따라가며 간접적으로나마 당시 모습이나 당시를 재현한 이야기들을 접하고 힘이 났다. 자리를 뺏기고 밀려나도, 꿈을 꾸는 이들은 결국 꿈을 꿀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낸다는 것. 그리고 현실보다 더 멋진 세상을 창조해 낸다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박주연 기자 페미니스트 저널 <일다> 바로가기 

 

다큐멘터리 <파리 이즈 버닝>을 만든 제니 리빙스턴


1980년대 후반의 ‘볼’을 쫓으며 당시의 생생한 모습과 많은 사람의 목소리를 담아, 미국 퀴어 문화의 중요한 역사를 기록한 작업물을 만들어낸 제니 리빙스턴 감독. <파리 이즈 버닝>은 1991년 미국 선댄스 영화제에서 상영되고 ‘심사위원 대상’을 받은 후, 크게 주목받았다.


‘드랙’하면 많은 이들이 드랙퀸 경연 프로그램인 <루폴의 드랙 레이스>(RuPaul’s Drag Race, 미국 VH1 2009년부터 방영 중)를 떠올린다. 하지만 <루폴의 드랙 레이스>나 최근의 <포즈>가 나올 수 있었던 건 <파리 이즈 버닝>으로 드랙과 볼 문화가 주목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평가하는 사람들 이야기가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 그만큼 이 영화의 영향력이 컸다.


<파리 이즈 버닝> 중 ©Jennie Livingston/Janus Films


예상을 뛰어넘는 성공이었고 현재까지도 회자되는 명작으로 꼽히지만, 사람들이 의외로 잘 모르는 부분이 있다. 이 영화를 만들 당시 20대 후반이었던 레즈비언(외신에 따라서 그를 젠더퀴어 레즈비언, 혹은 레즈비언, 또는 퀴어로 표기하기도 함) 감독이 만들었다는 사실이다.


제니 리빙스턴 감독은 예일대에서 사진 및 미술, 영문학을 공부했으며 1985년 뉴욕으로 이주한 후 AIDS/HIV 차별과 혐오에 반대하는 활동가로 ‘ACT UP’에서도 활동했다. 그가 볼을 알게 된 건, 우연히 공원에서 보깅 댄스를 추던 흑인 남성들과 만나게 되면서였다. 그 후 자연스럽게 볼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카메라를 들고 볼을 찍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렇게 영화가 시작된 거다.


완성된 영화에 대해 호평이 많았지만, 비판이 없었던 건 아니다. 비판은 주로 감독의 시선과 위치에 대한 것이었다.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인 벨 훅스(Bell Hooks)를 비롯한 몇몇 사람들은 백인 중산층 가정에서 자란 엘리트 레즈비언인 감독이, 흑인 커뮤니티 내부가 아니라 바깥의 ‘백인 시선’에서 영화를 만들었다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결국 흑인 커뮤니티의 이야기를 ‘이용한’ 백인이 주목을 받고, 영화 주인공들의 삶은 변하지 않았는데 감독만 성공과 부(영화는 상업적으로도 꽤 성공을 거뒀다)를 거머쥐게 되었다는 비판도 받았다.


어쩌면 이 영화가 세상에 나올 수 있게 된 건, 제니 리빙스턴이 그런 ‘백인 특권’을 써서 필요 자원들을 확보했기 때문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든다. ‘어째서 그는 카메라를 들 수 있는 위치에 있었던 것에 반해, 볼에 참가하고 있던 많은 흑인 퀴어들은 피사체의 위치에만 머물러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계속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예술가나 창작자가 자신이 가진 ‘특권’을 어떻게 활용하여 ‘더 나은 이야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도 필요하다.


다큐멘터리 영화 <파리 이즈 버닝>, 드라마 시리즈 <포즈> 시즌1~2은 넷플릭스에서 시청할 수 있다.


※ 참고 자료

*How drag balls went mainstream (Arwa Haider, BBC, 2018/08/20) 

*Striking a ‘Pose’: A Brief History of Ball Culture (LES FABIAN BRATHWAITE, Rolling Stone, 2018/6/6) 

*UNDERGROUND BALL CULTURE 

*The ‘Paris Is Burning’ Director on Its Message: ‘Be Yourself’ (Cassidy George, New York Times, 2019/6/1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