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접고용 이후에도 톨게이트 노동자들은 싸우고 있다 “올라오는 첫날부터 청와대 진격 투쟁했어요. 경찰하고 몸싸움하고 잡혀가고. 그때는 ‘다 잡혀가자’하는 심정으로 올라온 거죠. (...) 경찰이랑 싸울 때 우리가 절대 안 밀리더라고요. 진짜 잘하더라고요.” 일다 기사 중, 2020년 4월 8일 https://ildaro.com/8694 ≪일다≫ 위험한 캐노피 위, 수납원들은 어떻게 98일을 버텼나 ※ 작년 6월, 해고된 톨게이트 요금수납 노동자들이 서울톨게이트 캐노피에 오르면서 이들의 실태가 알려졌다. 공공부문이 얼마나 많은 용역 노동자를 www.ildaro.com 지금으로부터 2년 전 2019년 6월 30일. 전국 영업소에서 일하던 톨게이트 요금수납원 천여 명이 서울로 왔다. 이들은 도로공사 지시를 받아..
‘한 달에 백만 원’을 넘어선 질문 비정규 사회 ※ 여성들의 이야기를 듣고 읽고 쓰는 사람, 의 저자 안미선의 연재입니다. -편집자 주 기업이 살아야 노동자가 산다? 기업만 살았다 길에서 두 여자가 이야기하는 말을 들었다. “직장에서 일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걱정이 돼. 직장에서 경력 있는 사원을 좋아하지도 않고 새로 일 구하기 더 어렵고…” 구직자들이 많은데 회사에서 굳이 부담되게 경력직을 쓰겠냐는 것이다. 경력에 대한 인정까지는 바라지 않더라도 일을 계속하기만을 바라는데 마음을 놓을 수 없는 것이다. 그들은 이십대였다. 몇 년 되지 않은 경력조차 벌써 고용에 불안한 요소가 된다. 정규직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한 이웃이 들려준 말이었다. “회사에서 승진이 빨리 되면요, 이제 빨리 나가라는 말이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