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래시 시대, 페미니즘 다시 쓰기] 공동체의 구성원리 ※ 페미니즘에 대한 왜곡과 공격이 심각한 백래시 시대, 다양한 페미니스트들의 목소리로 다시 페미니즘을 이야기하는 “백래시 시대, 페미니즘 다시 쓰기” 스무 편이 연재됩니다. 이 기획은 한국여성재단 성평등사회조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일다 풋살 경기, 몸과 마음이 녹는 ‘회복의 시간’ 요즘 많은 여성들 사이에 스포츠 붐이 일었듯이, 나도 올해 초 풋살을 시작했다. 책 (김혼비 지음 2018), SBS 예능 열풍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내가 할 운동은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말이다. 퇴근길에 동료를 따라 잠시 구경갔다 정신을 차려보니 몸싸움을 마다 않고 달리고 구르며 공에 집착하고 있었다. 그간 수영이나 요가처럼 명상 효과를 주고 자기 속도에 차분히..
우리가 페미니스트 정당을 만들려 하는 이유2019 페미니스트 ACTion! ⑱페미당 창당모임 ※ 혐오와 차별을 멈추라는 여성들의 목소리가 온라인에서 결집되어 거리에서도 울려퍼지는 시대, 지금 곳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는 새로운 페미니스트들의 액션을 기록합니다. 이 기획은 한국여성재단 성평등사회조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요즘 자기 소개를 할 때면, 빠지지 않고 받는 질문이 있다.“왜 페미당이죠?” 시민단체 활동 혹은 다양한 운동 방식들이 있는데 왜 하필 정당이냐는 것이다. 기존 진보 정당에서 페미니즘 정치를 하면 되지 않느냐는 얘기도 빠지지 않는다. 단골 질문인 만큼, 외부 행사나 인터뷰 지면을 통해 충분히 답한 것도 같다. 하지만 페미당 창당 준비를 하는데, 내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