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곳곳에서 꿀벌들이 자취를 감추고 있다 지금, 꿀벌이 떼로 사라진다는 ‘봉군붕괴증후군’(CCD)이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2007년 미국에서는 양봉업자의 벌집상자에서 꿀벌이 홀연히 자취를 감추는 사건들이 속속 발생했다. 같은 해 구미를 중심으로 한 북반구에서도, 꿀벌 전체의 4분의1에 해당하는 300억 마리가 죽은 것으로 알려졌다. 가지, 호박, 사과 등 식용식물의 약 80%는 꿀벌의 수분 덕에 열매를 맺는다. 꿀벌의 감소는 곧 농업의 쇠퇴를 부르고, 식료 감산에 의한 가격 폭등으로 이어져 우리 식탁에 미치는 영향도 심각하다. 꿀벌은 왜 사라지고 있는가, 그로 인해 무슨 일이 일어났나. 꿀벌이 사라지는 원인으로 바이러스, 벼룩, 농약, 스트레스, 전자파 등이 꼽히고 있지만, 확실한 결론은 나지..
저널리즘 새지평/기후변화와 에너지
2009. 10. 7. 1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