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접대와 ‘권력형 성폭력’은 별개가 아니다정책토론회 “뫼비우스의 띠로 얽힌 성접대, 성폭력, 성매매” “성접대와 권력형 성폭력의 문제는 ‘권력’을 이용하여 성적 행위의 제공을 유인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유형의 범죄이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장임다혜 연구원은 24일(화)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주관한 정책토론회 에 참여해 이렇게 말했다. “뇌물로서의 성(Sexual Acts) 제공과 법제도적 해결 방안”에 대한 발제를 하며, 성접대와 권력형 성폭력의 연관성을 설명한 것이다. ‘故장자연 사건’이라는 이름으로 가해자는 숨겨진 채 피해자의 이름으로만 호명되는 사건에 대해, 지난 2일 법무부 검찰과거사위원회가 재조사 사전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어 24일 검찰과거사위원회는 김학의 전 법무차관이 ‘성접대’를 받았다는 ..
“성별이 스펙이냐” 채용성차별 현황 속속들이 밝혀라!금융권 성차별 고용에 항의, 재발방지 촉구하는 기자회견 지난 2일, 영국의 주요 언론들은 의회의 여성의원들이 모여 성별 임금 격차(gender pay gap)을 해소하기 위해 힘을 합쳐 행동에 나서기로 했다는 소식을 보도했다. 이 움직임을 이끈 영국 노동당의 스텔라 크리시(Stella Creasy)는 보수당과 자유당의 여성의원들도 참여한 초당적인 모임에서 페이미투(#PayMeToo) 온라인 캠페인을 시작하겠다고 알렸다. 영국의 공공기관 중 90%가 남성에게 여성보다 더 많은 임금을 지급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이후의 움직임이다. 미국에서도 미투(#MeToo)에 이어 영화산업, 광고업계, 언론계, 실리콘밸리 등 각 분야에서 여성의 부재(不在)와 직장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