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건강을 보장하는 정책, 우린 “왜 없어?”‘#왜없어 프로젝트’ 대표 후쿠다 가즈코 인터뷰 후쿠다 가즈코 씨는 내가 지금껏 본 적 없는 ‘기구’를 차례차례 늘어놓더니, 생글거리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건 피임링. 질에 넣으면 호르몬이 조금씩 나와서 효과는 3주간 지속돼요. 지금 스웨덴에서 제법 인기가 있고, 피임 성공률은 91%에요. 이건 팔뚝에 박는 임플란트.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일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데, 일본에 사는 이주여성 중에는 이걸 다룰 줄 아는 의사를 찾지 못해 곤란해하는 분도 있죠. 이건 출산경험이 없는 사람도 쓰기 쉽고, 얇고 작은 자궁 내 피임시스템인 IUS. 약 3년간 효과가 지속되고. 둘 다 성공률은 99% 이상이에요!” 이 외에도 주사나 패치, 컵 등. 세계에는 여성의 성 건강..
‘대학에서 싸우는 여자들’은 사라지지 않는다대학 페미니즘 이어달리기: 총여학생회 폐지, 그 너머를 상상하라 2018년은 미투(#MeToo) 운동이 한국 사회를 거세게 흔든 해였다. 대학 내에서도 교수 성폭력 사건들이 밝혀졌고, 연이어 남학생들이 여학생과 여성 강사 또는 교수를 두고 성희롱 및 모욕적인 발언을 일삼는 ‘단톡방 성희롱 사건’이 고발됐다. 대학 내 성폭력 고발 “피해자를 위한 학생회는 없다” 성균관대학교에선 남OO 전 교수에 대한 미투 운동을 지지하는 학생들이 학교와의 면담 자리에서 ‘선출직이 아니’라는 이유로 출입이 가로막히는 일이 발생했다. 선출직으로 구성된 총학생회는 마지못해 ‘총학생회가 함께 하겠습니다’라는 성명서를 냈지만, 결국 “피해 교수와 학교 측의 입장이 너무 상충되어” 아무것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