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성주의 저널 일다 www.ildaro.com
죽음연습 (3) 두더지의 죽음
<일다>에 ‘도서관 나들이’, ‘철학하는 일상’을 연재한 이경신님의 새 연재 ‘죽음연습’이 시작됩니다. 이경신님은 의료화된 사회 속에서 좋은 죽음이 가능한지를 탐색하고 있는 중이며, 잘 늙고 잘 죽는 것과 관련한 생각들을 <일다>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밤사이 세찬 비바람으로 잠을 좀 설쳤다. 그렇다고 오전 산책을 포기할 수는 없다. 평소 다니던 대로 도로를 피해서 동네 사이 길을 따라 걸었다. 자동차 소음이 요란스러운 외곽순환도로 위의 다리를 건너면 키 큰 참나무들이 줄 지어선 흙길이 나온다. 지난밤에 내린 비 때문에 땅에는 아직도 군데군데 빗물이 고여 있었다.
물웅덩이를 피해 풀을 살짝살짝 밟으면서 걷고 있을 때였다. 풀 위에 검은 회색빛 털 뭉치 같은 것이 놓여 있었다. 가만히 들여다보니, 두더지다. 태어나서 두더지를 직접 보긴 처음이다. 배를 하늘로 향한 채 누운 이 작은 짐승은 숨이 끊긴 상태였다. 왜 여기 이렇게 죽어 있는 것일까? 지난밤 빗물로 두더지 굴에 물이 가득 차서 도망 나오다 숨이 막힌 것일까?
나는 두더지를 살짝 뒤집어 보았다. 두더지의 몸은 이미 뻣뻣하게 굳었지만, 몸의 털은 살아 있는 것처럼 윤기가 흘렀다. 상처 하나 없는 말끔한 모습이었다. 죽은 지 그리 오래 된 것 같지는 않았다. 어제 늦은 오전, 이 길을 걸었을 때만 해도 풀 이외는 아무 것도 보지 못했었다. 나는 두더지를 사람들의 눈길이 닿지 않는 곳으로 옮기고 싶었다. 하지만 살아 있는 동물이 아닌 사체를 건드리는 것이 왠지 불편했다.
나는, 죽은 것이 싫다
▲ 나는 두더지를 사람들의 눈길이 닿지 않는 곳으로 옮기고 싶었다. 하지만 살아 있는 동물이 아닌 '사체'를 건드리는 것이 왠지 불편했다. ⓒ 이경신
나는 어릴 때부터 유독 죽은 것을 싫어했다. 살아 있는 동물들은 ?지렁이를 제외한- 그 어떤 동물에 대해서도, 말하자면 쥐나 뱀, 애벌레조차도 거리낌 없이 대하고 만지곤 했다. 하지만, 죽은 동물은 불편하고 가까이 하기가 싫었다. 만질 엄두도 내질 못했지만 바라보는 것도 끔찍했다. 그래서 작은 곤충, 심지어 해충으로 불리는 파리나 바퀴벌레와 같은 곤충들도 죽이길 싫어했고, 죽어 있는 것은 피했다.
지금도 고등학교 시절 학교 하수도 청소를 떠올리면 어떻게 내가 그 일을 해낼 수 있었는지 신기할 지경이다. 하수도가 더러워서 청소일이 견디기 힘들었던 것은 아니다. 죽은 쥐들을 치우는 일이 괴로웠던 것이다.
학교가 산중턱에 위치해서인지 우리 학교에는 특별히 쥐가 많았다. 학교 정원은 물론이고, 교실에도 쥐들이 발견되어 수업시간이 온통 아수라장이 되기도 했다. 학교 측에서는 쥐를 잡겠다며 쥐약을 놓았고, 그 약을 먹은 쥐들이 하수도로 뛰어들은 것이다.
덕분에 하수도 청소담당이었던 우리들은 더러운 오물 속에 죽어 있는 쥐들을 뒤처리해야 하는 임무가 주어졌다. 퉁퉁 부풀어 오른 쥐의 사체를 건져 소각장에 버리는 일은 그 누구도 쉽게 떠맡으려 하지 않았다. 결국 하수도 청소반장이었던 내가 할 수밖에 없었다. 끔찍한 몰골의 쥐들을 애써 외면하면서 소각장까지 가는 길이 얼마나 멀게 느껴졌던가.
그때만 해도 어쩔 수 없는 일이니까 죽은 쥐를 치우는 일을 해낼 수 있었지만, 그 이후 도로바닥에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새들이나 작은 짐승들, 길에 나동그라져 있는 고양이 등 죽은 동물들은 마주할 일이 생기면 일단 고개부터 돌리면서 지나갔다. 내게 죽은 동물은 마주대하기 싫은 무엇일 뿐만 아니라, 일상 속에서 어쩌다 부딪치는 특별하고 예외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사람의 시체를 직접 본 적이 있던가?
그래도 죽은 동물은 가끔씩 원하건 원하지 않건 마주 할 일이 생긴다. 하지만 지금껏 죽은 사람, 즉 시신을 내 눈으로 직접 본 적은 없다.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본 것을 제외하면 그렇다. 지금껏 조부모와 부모 등 가까운 사람들을 여럿 잃었지만, 죽어 있는 이들을 내 눈으로 직접 본 적이 없는 것이다.
기억을 더듬어 보자. 20대 중반에 생을 마감한 대학 동창생의 장례식을 참석한 후, 장지에 따라갔었을 때였다. 나무 관에서 꺼낸 그녀의 몸은 머리부터 발끝까지 하얀 수의로 칭칭 감겨 있었다. 몸의 대략적인 윤곽만 드러낸, 하얀 천으로 덮인 그녀가 내가 가까이에서 본 유일한 시신이다. 물론 박물관이나 전시회에서 본 미이라는 예외로 하고.
우리 사회에서 의대생이나 의사들, 장례관련 일을 하는 사람들, 재난 시 구조일을 하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시체를 자주, 아니 가끔이라도 대하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사람의 죽은 몸은 대부분의 살아 있는 우리에게 낯설다. 아니, 보아서도 알아서도 안 될 무엇처럼 보인다. 우리 삶 속에서 죽은 몸은 드러나지 않는, 아니 드러나서는 안 되는 무엇인 것이다.
그래서 살아 숨 쉬는 자들의 삶 속에서 죽은 몸은 철저히 은폐된다. 시신은 서둘러 처리된다. 생명으로 넘치는 일상생활 속에서 죽은 몸이 끼어들 자리는 없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는 죽어간다. 살아 있는 존재에서 생명 잃은 사체가 된다. 시체는 우리의 시선이 닿지 않는 곳에 자리한다. 어디선가 썩고 있을 것이고 먼지가 되고 흙으로 바뀌고 있을 것이다.
생명체란 생명이 있는 몸으로 태어나 언젠가 생명이 없는 몸으로 변화하는 자연스런 과정을 거치게 마련이다. 생명체가 어느 날 생명을 잃어 사체가 되는 일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왜 우리는 죽은 사람, 죽은 동물을 대하는 것이 놀랍고 불쾌하고 끔찍하고 두려운 것일까? 부패가 시작되는 죽은 몸 자체는 불결하고 위험하다. 그래서 끔찍스럽고 두려운 걸까?
죽은 몸을 대하는 것이 낯설지 않은 사회라면
무엇보다도, 죽음을 멀리하고 배제시키는 사회문화 자체가 사체를 한층 더 낯설게 만들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든다. 가까운 이가 죽었을 때 시신을 염하는 일을 생면부지의 타인에게 떠맡기지 않고, 죽은 이를 아꼈던 사람들이 도맡는다면 어떨까? 적어도 나처럼 어느 날 갑자기 부모님이 이 세상에서 증발된 기분에 사로잡히지는 않을 것이다.
살아남은 이에게 사체와 접한 경험?시각적인 것이건, 촉각적인 것이건, 또는 다른 동물에 대한 것이건, 사람에 대한 것이건-은 우리가 언젠가 죽는 존재라는 것,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도 죽기 마련이라는 것, 우리 주변의 생명체도 모두 죽는다는 것을 좀 더 편안하게, 좀 더 평화롭게 받아들일 수 있는 길을 열어 줄 것으로 보인다.
나는 죽은 두더지를 맨 손으로 잡을 자신은 없었다. 그래서 주변을 둘러보았다. 무엇으로 두더지 몸을 잡을까? 낙엽 한 장을 집어 들고, 두더지의 뻣뻣한 몸을 겨우 잡아 풀이 우거져 아무도 볼 수 없는 움푹진 곳에 힘껏 던졌다. 사람도 노지에서 30일이면 뼈만 남는다고 하니, 두더지의 작은 몸도 다른 작은 생물들에게 영양을 제공하며 얼마 안 있어 흙으로 돌아갈 것이다. 그리고 주변의 나무들에게는 좋은 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불현 듯, 어린 시절 우리 집 정원에 묻어준 참새가 떠올랐다. (이경신)
* 여성저널리스트들의 유쾌한 실험! 독립언론 <일다> www.ildaro.com
'경험으로 말하다 > 이경신의 죽음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배추를 심고 있을 때 죽고 싶다” (1) | 2013.03.26 |
---|---|
할머니는 왜 화장을 원하셨을까? (0) | 2012.12.16 |
죽음의 이야기가 있는 오래된 도시에서의 배회 (0) | 2012.12.02 |
할로윈 밤, 죽은 자를 떠올리는 시간 (0) | 2012.11.07 |
도시의 공동묘지에서 보낸 오후 (0) | 2012.10.21 |
별이 스러지듯, 평화로운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 (1) | 2011.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