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은 지극히 사소하게 간주되는 성고문이다일레인 스캐리 作 의 사유를 확장하기(3) 고통, 고문, 전쟁, 언어, 창조성에 관한 독창적인 사유를 통해 인간의 문명을 고찰한 일레인 스캐리(하버드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의 (1985) 한국어판이 나왔습니다. 의 저자이자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연구활동가 김영옥 님이 스캐리의 사유를 안내하고, 더 깊이 확장하는 글을 4편 연재합니다. 페미니스트저널 바로가기 성고문 당하는 ‘여성’의 자아분쇄 고문과 고통, 몸, 그리고 인공물을 다루는 스캐리의 책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특별히 성애화된 폭력인 성고문이 언급되지 않는 것은 의아하다. 고문이 고문을 당하는 사람에게서 언어를 비롯해 모든 창조 행위의 가능성, 즉 탈체화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빼앗고 오로지 몸만으로..
여성주의 저널 일다 www.ildaro.com 3.1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유산③ ‘비폭력’ 정신 1919년 3.1운동에서 여성들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여성사로서 당시를 기록하고 그 의미를 살펴봅니다. [www.ildaro.com] ① 십대여성들의 3.1운동 ② 독립투사였던 기생들 ③ 비폭력 원칙을 끝까지 지키다 ④ 여성운동사에서 3.1운동의 위치 여성시위자에 대한 일제의 성적(性的) 탄압 3.1운동은 비폭력 시위로 전개되었으며, 시위주동자와 참가자들은 무장한 일본 경찰들 앞에서 태극기 한 장을 들고 맨몸으로 독립만세를 외치며 저항했다.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복원한 고문실 ©일다 -이옥임 한국민의 비폭력 저항에 대한 일제의 대응은 무자비한 폭력으로 자행되었다. 특히 여성들에 대해서는 성적 학대와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