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다] 조이여울의 기록(4) 살인피해자 가족의 죄의식, 그 사회적 의미 우리는 살인, 성폭력과 같은 강력 범죄를 미디어를 통해 자주 접하면서 살고 있다. 범행의 양상이 끔찍할수록, 피해자의 규모나 피해의 정도가 클수록 사회여론이 들썩인다. 그런데 나는 범죄 사건을 접하는 대중의 여론이 상당히 소모적이라는, 그래서 피곤하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예를 들어 성폭력, 특히 아동에 대한 성폭력 사건이 세상에 알려지면 사람들은 ‘어떻게 그런 짓을 할 수 있냐’며 가해자를 향해 비난을 퍼붓는다. 그러나 그 반응은 기껏 하루 이틀 후면 관심에서 밀려날 정도의 중요성밖에 지니지 않고 있다. 바로 이 가벼움 때문에, 나는 범죄 사건이 마치 사람들로부터 ‘열 받는다’ ‘충격적이다’ ‘화난다’ 하는 감정을 집단적으로..
[일다] 공숙영의 Out of Costa Rica (최종회) * 코스타리카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필자 공숙영은 현지에서 마주친 다양한 인상과 풍경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 둥지로 들어가는 케찰(중남미에 사는 파랑새), 2008년 5월, 코스타리카 *출처: 위키피디아 새 소리가 들립니다. 날이 밝으면 어김없이 새가 지저귑니다. 어떻게 생겼는지 알지 못하는, 소리로만 아는 얼굴 모르는 새. 눈을 뜨고 몸을 일으켜 냉장고 속 사과를 꺼냅니다. 사과를 들고 침대로 돌아와 다시 누워 사과를 껍질째 씹어 먹습니다. 더 이상 먹을 수 없을 때까지 살을 다 먹고 남은 것은 손에 쥔 채 눈을 다시 감습니다. 일어나고 싶지 않습니다. 눈을 다시 뜹니다. 커튼 사이로 새어 들어온 햇살이 벽에 닿습니다. 햇살이 벽 위에 만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