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여성주의 저널 일다 www.ildaro.com
<조이여울의 記錄>
3.1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유산④ 
 
[1919년 3.1운동에서 여성들의 역할이 어떠했는지, 여성사로서 당시를 기록하고 그 의미를 살펴봅니다. - www.ildaro.com
 
① 십대여성들의 3.1운동
② 독립투사였던 기생들
③ 비폭력 원칙을 끝까지 지키다
여성운동사에서 3.1운동의 위치
 
‘여성들이 정치의 영역으로 나온 최초의 시기’
 
3.1운동이 일어났던 당대는 유교문화가 지배적이고 남녀가 유별하며 공적인 영역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접할 기회가 없던 시절이었다. 딸들에게 요구되는 덕목이 ‘정절’과 ‘순종’이던 사회에서, 어린 여학생들이 3.1만세시위를 계획하고 시위대를 지휘하고 비밀결사모임을 조직했던 역사는 한국 여성운동사에서도 큰 의의를 갖는다. 

▲ 서대문형무소 1930년대 전경. 1919년 3.1운동으로 수감자가 급격히 증가하자, 일제는 기존 건물을 신축해 수용인원 3천여명 규모의 대규모 감옥으로 운용하였다.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3.1운동과 독립운동에 대한 최근 역사기록에서 여성의 주체성이나 활약상, 여성참여의 의미를 살려내고 있는 문헌은 많지 않다. 여성학계에서도 여성운동사로서 3.1운동을 조명하는 시도를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의 여성운동사에 대한 기록에서 3.1운동을 주요하게 언급하고 있는 소중한 옛 자료들을 발굴해보자.
 
1928년 1월 6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조선여성운동의 사적고찰”이라는 제목의 기사 내용을 살펴보면, “삼일운동 전체가 조선인민 전부에게 많은 정치적 의식을 환기한 것은 물론이지만은 조선신진여성으로서 정치적 의식을 가지게 된 것은 이 때를 최초라고 하야도 과언이 아니다.” 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 기사는 3.1운동 이전의 여성운동사상으로 여자교육사상과 ‘신여성’ 그리고 기독교 사상을 들고 있는데, 그 영역이 정치적 영역이 아니라 생활영역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매우 국한되어 있었다고 평가한다.
 
그에 반해 3.1운동은 여성의 정치의식이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되었고, 이후 조선여성들이 이 계단을 통해 광범위한 영역으로 진출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그런 의미에서 3.1운동 시기를 ‘여성운동의 제1기’라고 분류한다.
 
“삼일운동 이전의 소수 소위 신진여성의 사상은 오직 여자도 배워야 한다는 것에 불과하였다. 그들의 활동은 오직 여자교육사상의 선전 교육기관의 설치였다. 그들의 시야는 그 이상 넓지 못하였다. (…) 여자의 생활영역은 지극히 국한되어 있었다. 비교적 일찍 깨었다던 기독교인도 그 종교의 권외에 일보를 나서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제 관계에 대하여 삼일운동 이후의 조선민족운동은 분명히 많은 변화를 주었다. 신진여성의 의식을 발전시켜서 광범하여지도록 하였다. 여성의 정치의식이 이때로부터 발전하게 되었다.” -견원생(鵑園生)
 
여필종부, 삼종지도…낡은 봉건의 속박을 풀다
 
1967년 출간된 『이화팔십년사(梨花八十年史)』에서도 3.1운동을 계기로 변화하게 된 여성의 지위와 사회상을 이야기하고 있다.
 
독립운동에 참여한 여학생들의 활동이 여성의 해방과 지위를 향상시켰으며 나아가 사회적, 정치적 활동에 남성과 같이 참여하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여필종부니 삼종지도이니 하는 낡아빠진 봉건제도가 조국 비상사태에 임해서 배운 여성들을 안방구석에 묶어놓을 힘도 없도록 시대는 변하고 사태는 급격했던 것이다. 3.1운동 때 여학생들은 대부분 생명을 걸고 일선에 나서기를 서슴지 않았으며 이런 활동은 여성을 봉건제도와 남성들의 이중 속박에서 늦추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이화팔십년사』에서는 3.1운동을 거치며 우리 사회가 지독한 봉건제에서 벗어나 여성이 인간으로 인정받는 단계로 지위가 급격하게 향상되었으며, “여성이 자유를 누리게 되는 서곡이 울리기 시작”했다고 표현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 진출과 평등의식 확산돼
 
1971년 정요섭(1926-2005)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집필한 『한국여성운동사: 일제치하의 민족운동을 중심으로』에서, 저자는 3.1운동을 “한국여성들이 최초로 전개한 사회운동”으로 의미를 부여하며 여성운동에서의 위치를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요섭 교수는 1919년 2월 동경여자유학생들의 국권회복을 위한 역할과 3.1운동 전야의 준비단계부터 시위행진에 참여하고 희생한 여성들의 역할을 주목하며, “이로부터 여성의 사회참여는 공인되고 따라서 여성교육의 이념도 평등을 지향하여 진일보하였다”고 평한다.
 
집안에서 순종의 미덕만을 닦아왔던 우리나라 여성들이 독립운동에 뛰어들면서 이후 여성단체를 조직하여 민족운동, 여성 근대화 운동을 벌이게 한 계기가 되었다는 설명이다.
 
“3.1운동은 여성의 사회적 각성의 계기가 되었고 이로부터 여성의 지위향상이 비롯되고 있다. 그리하여 1920년대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고 각 방면에서 여성의 사회적인 자아실현이 결실되는 시기로 접어드는 것이다.”
 
정요섭 교수는 3.1운동 이후 조직된 여성단체가 1927년까지 70,80개를 헤아리게 되었다고 기록하며, 이후 1920년대 근우회(1927~1931) 등의 여성단체운동과 연결고리를 잇는다.
 
한국의 여성운동은 독립운동과정 속에서 성장
 
1980년에 3.1운동60주년 기념사업으로 ‘3.1 여성동지회’가 펴낸 『한국여성독립운동사: 3.1운동 60주년기념』에서도 여성항일운동가 고인 67인과 생존자 40인의 업적을 소개하며, 3.1운동을 여성이 사회적으로 진출하게 된 계기이자 첫 사회운동으로서 주목하고 있다.
 
‘3.1여성동지회’ 명예회장인 박용옥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는 1996년 출간한 『한국여성항일운동사연구』에서 3.1운동에 대해 서구와는 다른 방식으로 성장한 한국 여성운동의 초석으로서 의미를 부여한다.
 
“우리 나라의 여성운동은 서방국가의 경우와는 달리 주로 항일민족독립운동의 추진과정 속에서 발전했다. 그러므로 일제하 여성항일운동은 근대적 한국 여성상 정립의 필수적인 요체였다.”
 
박용옥 교수는 3.1만세운동 직후인 4월 중국 상해에 우리 역사상 최초의 민주공화정부인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임시정부가 발표한 민주헌법에 “남녀평등”이 명문화되어 있었다는 점을 부각한다.
 
“임시정부는 국내외의 전 민족의 뜻을 모아 세운 것인 만큼 남녀평등은 전 민족의 의지라고 해석할 수 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후에 이를 지지하고 후원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많은 비밀단체들이 조직되고 활동했는데, 여성들도 상해와 평양, 서울 등 각지에서 많은 조직을 만들어 독립운동, 근대화 운동, 교육운동을 펼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기록들은 3.1운동 당시 여성들의 참여를 한국의 여성운동사 흐름에서 자리매김하며, ‘정치적 무대’에 여성들이 남성과 동등하게 등장한 서막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시, 유관순을 기리며 

▲ 유관순이 순국한 여성옥사(지하감방)을 복원해놓은 곳. 허리를 펼 수도 없는 독감방 4개가 붙어있다.  ©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천안 아오내 장터에서 대규모 만세운동을 계획하고 주도하였고, 법정에서 ‘남의 나라를 침략한 일본의 법관에게 재판을 받는 것은 부당하다’고 강력히 항의하면서 재판장에게 호통을 치며 거부권을 행사한 이화학당의 유관순(1902-1920)은 3.1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이자 항일운동의 상징으로 기념되고 있다.
 
당시 16세의 유관순은 원심에서 3년 형을 받았지만 법정모욕죄가 덧붙여져 7년형이 언도되었다.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은 일제가 독립운동가 여성들을 수감하고 고문하기 위해 신축한 여성옥사(지하감방)를 복원해놓고 있다. 여성옥사에는 허리를 펼 수도 없는, 1평도 채 안 되는 독감방 4개가 붙어있다. 여기가 바로 유관순이 온갖 고문과 악형으로 순국한 장소로, 일명 ‘유관순굴’이라고 불린다.
 
추계 최은희 기자의 기록에 따르면, 유관순은 16세의 미성년임에도 워낙 중형인 까닭에 청의를 입히지 않고 황토빛깔 수의를 입혔으며, 혹독한 형벌을 당하여 온 몸이 성한 데가 없이 되어 중병환자와 같았다.
 
유관순은 서대문형무소에 수감 중이던 1920년 3월 1일에 3.1운동 1주년을 맞아 감옥 안에서도 수감자들을 일깨워 만세운동을 전개했다. 1920년 9월 28일, 17세의 나이로 옥사하기까지 숨이 붙어있는 한 일본 제국주의에 저항하며 국권의 회복을 부르짖었다.
 
남녀노소가 참여한 ‘범국민 운동’이라는 키워드는 3.1운동이라는 역사의 현장을 드러내는데 부족함이 있다. 3.1운동의 역사에서 ‘성별 분리’와 ‘연령 차별’, ‘사회적 신분’이라는 문화적 장벽을 뛰어넘어 일제의 가혹한 성적 탄압 앞에 비폭력 시위를 주도하고 저항했던 여성들의 용기와 정신은 반드시 기억되고 제대로 평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억과 해석의 과정을 통해 우리는 3.1운동이라는 역사적 사실의 실체에 전보다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 또한 3.1운동의 의미 역시 폭을 넓혀 새롭게 인식할 수 있고, 현재에 다시 불러내올 수 있는 정신적 유산이자 살아있는 영감으로서 여성사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조이여울)

 
       여성주의 저널 일다 www.ildaro.com        만화 <두 여자와 두 냥이의 귀촌일기>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